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경남지역 쌀산업 진흥·농가소득 보장 ‘고군분투’
상태바
경남지역 쌀산업 진흥·농가소득 보장 ‘고군분투’
  • 진주/ 박종봉기자
  • 승인 2017.09.28 08: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남 쌀산업 진흥대책協 구성·제1차 회의 개최…간담회식 자유토론 열려2018 농림축산식품 쌀산업 정책방향 주요 시책 설명 등 ‘열띤 토의’

 

경남도는 ‘경남 쌀산업 진흥대책 협의회(이하 협의회)’를 구성하고 제1차 회의를 26일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2018년 농림축산식품부의 쌀산업 정책방향과 2018년도 쌀산업 주요 시책설명에 이어 정해진 형식과 격의없는 대화를 나누는 간담회 방식의 자유토론의 순으로 이어졌으며 참석자들의 열띤 토론으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주요의견으로 적정 생산을 위한 쌀생산 조정제도(논 타작물 재배지원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쌀전업농, 들녘 경영체, 밭작물공동경영체 등 규모화된 경영체 중심으로 추진, 논 타작물 재배 작부체계 개선기술 시범 확대와 생산비 절감을 위한 공동 농작업 면적, 공동 농자재 살포기 구입 및 무논점파 시범사업 확대, 품질 고급화를 위한 경남 대표브랜드 육성 및 RPC 통합 추진과 쌀소득 보장을 위한 벼 재배농가 경영안정 자금 확대 등 다양한 의견이 있었다.

특히 수확기 쌀값이 전년동기 대비 2% 하락 하는 실정으로 쌀값 보장을 위한 목표가격 인상 등 농식품부의 범위를 넘어 범정부적인 특단의 쌀값 보장대책을 마련해 달라는 강력한 주문이 있었으며, 무엇보다 정부의 쌀산업 정책방향과 도에서 시행하는 쌀산업 주요사업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는 반응이었다.

도는 협의회에서 발굴된 정부의 쌀산업 제도개선 과제와 정책에 대해서는 농식품부와 농정개혁위원회에 건의하고, 도 자체 사업에 대해서는 데이터를 활용한 수요자 중심의 사업재구조화 방안을 마련하고 신규시책은 적극 반영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민철 경남도 농정국장은 “쌀값 회복은 정부와 도의 최우선 농정과제 중의 하나이다”며 “쌀 공급과잉, 가격하락 등 쌀산업이 당면한 근본적인 어려움을 극복 하고자 협의회를 구성했으며, 앞으로 위원 여러분들의 다양하고 생생한 목소리를 정부와 도의 정책에 적극 반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국매일신문] 진주/ 박종봉기자
bjb@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