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장기적인 경제적 번영 토대 마련되길
상태바
장기적인 경제적 번영 토대 마련되길
  • 최승필 지방부국장
  • 승인 2018.02.11 13: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승필 지방부국장

평창 동계올림픽이 지난 9일 ‘하나된 열정’을 슬로건으로, 드디어 17일간의 뜨거운 일정이 시작됐다. 지난 1999년 강원도의 축적전략이자 헤게모니 프로젝트로 시작된 행사가 20년 만에 결실을 맺게 된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1988년 서울 하계올림픽을 시작으로, 2002년 피파(FIFA)월드컵, 2011년 대구 세계 육상선수권대회 이후 평창 동계올림픽을 개최함으로써, 세계에서 5번째로 이 같은 세계 4대 국제스포츠가 열린 국가가 됐다.
 
이번 동계올림픽은 설상 7개(알파인스키, 바이에스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프리스타일 스키, 노드릭복합, 스키점프, 스노보드) 종목, 빙상 5개(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아이스파키, 컬링) 종목, 슬라이딩 3개(봅슬레이, 루지, 스켈레톤) 종목 등 총 15개 종목 102개 세부종목에 걸쳐 펼쳐진다.
 
지난 2014년 러시아 소치 동계올림픽에 참가했던 88국 2858명보다 많은 92개국 2925명의 선수단이 참가하며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대륙별로는 유럽에서 가장 많은 50개국이, 아시아에서는 한국을 포함한 19개국, 아메리카는 12개국, 아프리카는 8개국, 오세아니아 3개국이 참가했다.
 
우리니라 선수는 144명과 코치를 포함한 경기임원 40명, 본부 임원 35명 등 219명의 선수단이 출전, 컬링과 스노보드, 피겨스케이팅, 알파인스키, 스키점프, 크로스컨트리, 스피드 스케이팅, 루지, 바이애슬론 등 종목에 걸쳐 치열한 경쟁을 펼친다.
 
축제의 무대는 평창 마운틴 클러스터의 경우 이름처럼 실외 경기장으로, 개·폐회식이 열리는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소재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과 정선·용평 알파인 경기장, 휘닉스 스노경기장, 올림픽 슬라이딩 센터,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바이애슬론센터·크러스컨트리센터로 구성됐다.

또, 강릉 코스탈 클러스터는 해변가에 위치해 ‘코스탈(coastal)'이란 이름이 붙여진 곳으로, 실내경기장이 모여있다. 강릉·관동 하키센터와 강릉 컬링센터,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 강릉 아이스 아레나 등이다.

이번 올림픽의 개·폐회식 예산은 668억 원이 소요됐다. 이는 당초 529억 원으로 책정했다가 대회 개막이 임박해 139억 원이 증액된 것이다.
 
이 같은 예산은 개·폐회식에 무려 6000억 원이 투입된 ‘2008 베이징 올림픽’의 9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2010년 벤쿠버 동계올림픽’에는 1715억 원, ‘2012년 런던올림픽’에 1839억 원의 예산이 각각 투입된 것에 비교하면 평창 동계올림픽의 개회식은 거대하고 웅장하진 않아도 내실 있고 성공적인 행사였다는 평가다.
 
역대 대회와 비교해 제한된 예산으로도 한국의 전통과 미래가 담긴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관람객들과 세계인들의 감동을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 관심이 집중됐다.
 
이번 동계올림픽을 위해 투자한 예산은 이 같은 계·폐회식 예산은 별도로, 각종 시설에 투입된 예산의 규모는 13조원 정도라고 한다.

철도나 국도, 진립로 등 교통망 구축 예산이 약 9조5000억 원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철도와 국도 등 간선 교통망 건설에 8조5000억 원, 경기장 진입로 등에도 3000~4000억 원이 사용됐다고 한다.

올림픽 경기장 건설 예산은 약 9000억 원으로 추정되며, 미디어 촌과 국제방송센터 등 지원시설 건설 사업에는 1조 원 가량의 재원이 투입됐다고 한다.

이 같은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면서, 경제적인 측면에서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가시지 않고 있다.
 
올림픽 조직위원회 측은 이번 동계올림픽의 경제효과는 64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부풀려진 수치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 같은 기대효과는 현대연구원이 내놓은 자료에 의한 것으로, SOS나 직접인 투자와 지출소비 효과와 같은 직접적인 경제 효과는 21조로 전망했고, 기타 관광이나 앞으로 10여 년 간 들어올 간접적인 경제적 효과를 약 43조원 정도로 내다봤다.
 
그러나 2017년 3월 확정된 4차 예산 조정에서는 평창올림픽 개최비용에서 세입 2조5000억 원, 세출 2조8000억 원으로 3000억 원 적자를 예상했다.
 
여기에다 올림픽 이후 시설들의 사후 관리 문제까지 더해지면 적자는 더욱 불어날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조직위원회 관계자는 이에 대해 “SOS나 경기장 시설 등을 준비하면서 일자리 창출이나 지역경제 활성화,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 강원도 지역에 인프라 구축으로 인한 국토 균형발전 등 모든 측면에서 상당한 경제적 효과가 있다고 판단 한다”고 밝혔다.
 
조직위원회의 이 같은 전망에도 불구, 역대 동계올림픽 사상 적자를 면한 대회는 2002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외에는 없다는 점에서 적자 우려의 목소리도 나올 수밖에 없다.
 
현재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강원도 지역 상권은 양극화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경기장 주변 상권은 선수단과 각국에서 몰려든 많은 관광객들로 붐비며, 하루 매출양이 평소보다 3~4배 급증한 반면, 경기장과 먼 거리에 있는 다른 지역에서는 평소 겨울철 특수를 누렸으나 최근 들어 관광객들의 발길이 뚝 끊겼다고 한다.

2014년 55조를 쏟아 부은 러시아 소치올림픽 후 소치는 유령도시가 됐으며, 1976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캐나다 몬드리올은 올림픽을 위해 사용한 돈을 갚느라 33년간 고생했다고 한다. 또, 2016년 리우 올림픽 등고 경제효과는 마이너스였으며, 2014년 아시안게임을 치른 인천시도 사후 경기장 적자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그야말로 ‘올림픽의 저주’다.
 
평창 동계올림픽이 장기적인 경제적 번영의 토대 마련을 통해 사회기반시설을 효율적으 활용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각도의 관광객 유치 전략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