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4·27 선언’ 어떻게 만들어지나 ‘관심 집중’
상태바
‘4·27 선언’ 어떻게 만들어지나 ‘관심 집중’
  • 김윤미기자
  • 승인 2018.04.23 14: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靑 “2000·2007년 떠올려보라…사인만 하는 방식 아냐”
대략적 주제 정한 뒤 정상회담 후 선언문 만들어질 듯
‘당일치기 회담’ 고려하면 초안 얼개 마련했을 가능성

 남북정상회담을 나흘 앞두고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정상회담의 결과물로 나올 소위 ‘4·27 선언’이 어떻게 만들어질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남북정상회담이 다른 나라와의 정상회담과는 성격이 다르다는 점에서 공동선언문을 마련하는 방식도 관례를 따르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일반적인 정상회담에서 나오는 합의문이나 공동선언문은 정상회담 전 실무진이 사전에 조율한 다음 양국 정상이 만나 서명해 완성되지만 남북정상회담 선언문은 그러한 절차를 따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23일 기자들을 만나 “2000년과 2007년 상황을 떠올려보라”면서 “미리 남북 간 의제를 조율하고 합의문이 만들어진 후 정상이 사인만 하는 방식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남북 정상이 만난) 그 자리에서 진지한, 구체적인 협상이 이뤄졌고 그 내용을 현장에서 공동선언문, 합의문 형식으로 담아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정상회담의 합의문 내지 공동선언문 역시 과거 두 번의 남북정상회담 때 진행됐던 절차를 따를 것이라는 설명이다.


 2000년 6월 14일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은 오후와 저녁에 백화원초대소에서 두 차례 정상회담을 했다.
 이날 오후 3시에 시작된 정상회담에서 두 정상은 4시간이 넘는 ‘마라톤 회의’를 진행하면서 통일과 남북문제 전반에 대한 의견을 허심탄회하게 교환했다.


 이 회의에서 몇 가지 주요한 내용에 대체적인 합의를 이뤘다.

   배석했던 임동원 당시 국정원장은 실무자들의 합의문 협의 작업을 돕기 위해 회담장에서 수시로 메모를 밖으로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 실무진은 양 정상이 목란관에서 만찬을 하는 동안 공동성명 초안을 마련했다.
 이 초안을 만찬장으로 들고 가 김용순 아태평화위원장이 김 위원장에게 먼저 보고했고, 김 위원장이 지시한 수정 사항이 우리측 임동원 특보를 통해 김 대통령에게 보고되는 등 막후에서 조율 작업이 이뤄졌다.


 다시 장소를 백화원 영빈관으로 옮겨 공동성명이 발표되기 10분 전인 밤 11시 10분께야 최종적인 합의가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김용순 위원장은 남측 인사들과 김 위원장의 방을 오가면서 메신저 역할을 했고 남북 정상은 밤 11시 30분에 공동선언문에 사인했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담은 10·4 공동선언 역시 10월 3일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 간 오후 회담이 끝난 직후 만들기 시작해 심야 협의를 거쳐 다음 날까지 양측 실무자 간 조율을 통해 완성됐다.
 그 뼈대는 3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에 걸쳐 총 4시간가량 이야기를 나눈 노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 회담 내용이었다.


 기록을 위해 회담에 배석한 조명균 당시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이 직접 들은 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회담 내용을 바탕으로 합의문 조율이 시작됐다.
 실무 조율에는 남측에서 당시 서훈 국정원 3차장과 조 비서관, 북측에서 최승철 통전부 부부장, 원동연 통전부 실장 등이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총 다섯 차례 접촉하며 4일 오전 10시께 공동선언문 초안의 골격을 잡았고 자구 수정 등을 거친 후 오전 11시 30분께 노 대통령의 재가를 얻어 최종적으로 이날 정오께 선언문을 완성했다고 한다.
 이번 정상회담 선언문 역시 2000년과 2007년의 절차를 따를 확률이 높지만 일각에서는 국정원과 통전부 간 채널을 통해 초안을 마련했을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을 제기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