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경기연구원, 콘텐츠의 융·복합과 단계별 인 큐베이팅 지원 가능한 혁신클러스터 조성 제기
상태바
경기연구원, 콘텐츠의 융·복합과 단계별 인 큐베이팅 지원 가능한 혁신클러스터 조성 제기
  • 수도권취재본부/김창진·최승필
  • 승인 2018.07.15 16: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향후 4차산업혁명 기술이 접목된 도시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경기도형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콘텐츠의 융·복합과 단계별 인큐베이팅 지원이 가능한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에서는 15일 수도권 혁신클러스터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4차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경기도 R&D 클러스터 조성을 제안한 ‘4차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도심 내 융·복합 R&D클러스터 조성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도는 4차산업혁명에 대응해 혁신거점을 중심으로 특화된 R&D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개방형 R&D생태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진화되고 있는 판교테크노밸리가 대표적인 사례다.
 
그러나 지자체간 유망산업 유치를 위한 경쟁으로 콘텐츠·기술 등이 중복 투자되고 있고, 기존의 용도지역지구제에 얽매인 융·복합개발의 제한, 하드웨어 중심의 시설배치로 혁신공간 조성 실패, 융·복합 콘텐츠 및 전시·체험기능 부재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라 기술 특성과 수도권 내 각 지자체별 보유 자원 등을 감안한 새로운 혁신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수립·운용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김태경 연구위원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체계화되고 효율적인 R&D 클러스터 조성 방안을 연구, 이를 현재 수립중인 ‘제5차 국토종합계획’에 반영하고, R&D 단지 조성·배치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공공 주도하에 콘텐츠와 지원 기능을 결합한 R&D단지를 조성하고, 단지 내 스트리트와 같은 선적인 융·복합개발공간을 특별계획구역으로 설정, 단지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공공성 강화를 위해 R&D단지 조성을 통한 수익을 주민에게 환원하고, 도심 내에 노후화되거나 방치된 공간을 활용한 도시재생형 R&D단지를 조성, 도심활성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경기도 R&D 클러스터 조성 방안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한 신(新) 수도권 혁신클러스터 조성방안 수립 및 제5차 국토종합계획 반영, 경직적인 용도분리 방지와 콘텐츠 융·복합 기반의 창의적 공간 조성을 제안했다.
 
또, R&D와 아이디어 상품화, 해외진출 및 사업화 지원 등 단계별 인큐베이팅 지원시스템 구축, 도심 내 일상생활과 기술R&D가 결합된 스마트시티 개발, 재생형 R&D단지 조성을 통한 노후·방치자원의 활용과 문화자원화를 제안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