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라돈 공포’ 사그라지지 않는다
상태바
‘라돈 공포’ 사그라지지 않는다
  • 김윤미기자
  • 승인 2018.11.28 16: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들 정부 대책 못 미더워 직접 측정기 사서 테스트하기도
전문가 “라돈 측정·관리 기준 통일…전수조사와 회수조치부터”

라돈 공포가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다. 라돈은 1급 발암물질로 무색무취해 측정기가 아니면 존재 여부조차 알 수 없어 국민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침대에서 시작된 라돈 충격은 생리대, 매트리스, 온수 매트, 베개 등 생활용품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에 지자체들은 라돈 측정기를 사 무료로 대여하고 있지만, 신청자가 많이 몰려 내년은 돼야 측정기를 빌릴 수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마음 급한 이들은 직접 측정기를 구매해 집안 곳곳에서 라돈 수치를 측정하고 나섰다. 라돈에 대한 불안감은 커지고 정부 대책은 미적대는 사이 국민이 자구책을 찾기 시작한 것이었다.


그러자 라돈은 우리가 사용하는 생활용품 외에도 대리석 등 건축자재에서도 검출됐다. 라돈(Rn-222)은 암석, 토양에 포함된 우라늄(U-238)과 토륨(Th-232)이 자연 붕괴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기체 방사성 물질로 생활 주변 어느 곳에서나 존재하지만, 문제는 검출 수치가 기준치를 훨씬 넘어선 것이다.


지난 10월 전주 한 신축 아파트 입주민은 자체 검사 결과 욕실 천연석 선반에서 많은 양의 라돈이 검출되자 시에 민원을 제기했다. 전주시가 측정한 라돈 수치는 권고 기준치 200베크렐(QB/㎥)의 10배 이상인 2천∼3천 베크렐이었다.


올해 1월 1일 이후 사업계획 신청을 한 아파트는 라돈 측정을 의무적으로 해야 하지만 이 아파트는 올해 초 입주를 시작해 라돈 측정 의무 대상이 아니었다. 경기도 수원 한 신축 아파트 욕실 대리석 등에서도 기준치 이상인 230∼250베크렐의 라돈 수치가 나오자 입주예정자 협의회 요구로 재시공이 결정된 상태다. 라돈이 기준치보다 5배가 넘게 측정된 부산의 한 대단지 아파트에서는 부산시가 재측정 후 기준치 이하라는 결과를 발표해 주민과 마찰을 빚었다.


주민 반발이 거세지자 부산시가 재조사를 약속한 가운데 조만간 정부도 직접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침대나 매트리스, 생리대 등은 안 쓰면 되지만 '라돈 아파트 공포'는 차원이 다르다. 주거공간인 아파트는 당장 버릴 수도, 이사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지금이라도 라돈 검출 의심 제품에 대한 전수조사·회수조치를 하고 측정·관리 기준을 통일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