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충남도 ‘공공 산후조리원’ 건립 난항 예고
상태바
충남도 ‘공공 산후조리원’ 건립 난항 예고
  • 충남취재본부/ 한상규기자
  • 승인 2019.05.01 16: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매일신문 충남취재본부/ 한상규기자>충남도가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 산후조리원 건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운영 비용과 인력 수급 등 문제로 난항이 예상된다.

1일 충남도에 따르면 민선 7기 도지사 공약으로 '보령에 공공형 산후조리원 건립'을 내걸고 45억원을 들여 1652㎡ 부지에 건축면적 700㎡, 임산부실 15실 규모로 산후조리원을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타 시·도 사례조사와 분만 취약지역 출산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거쳐 7월에는 대상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지만, 운영 비용과 인력 수급 등 문제로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도는 당초 서남부 지역의 열악한 산후조리시설 등 때문에 보령을 대상지로 선정했지만, 보령시는 운영비 부담 등을 들어 설치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모자보건법상 산후조리원은 특별자치시장이나 특별자치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이 설치·운영할 수 있어, 해당 기초자치단체장의 의사 없이는 설치가 불가능하다.

청양·서천 등 인접 시·군이 연합해 거점시설로 운영하는 방안도 제시됐지만 부지 확보와 운영비 분담 비율, 사고 발생 시 책임 주체 규명 등 문제 때문에 부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타 시·도의 경우 거점형 공공 산후조리원은 없고, 5개의 공공형 산후조리원 모두 지자체가 지원하고 있지만 운영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인력 수급 문제도 풀어야 할 숙제이다.

도내 15개 시·군 중 천안·아산·공주·서산·당진·홍성 등 6개 시·군에 18개의 산후조리원이 있지만, 서산과 홍성 산후조리원 2곳은 간호사 수급 문제로 수년째 휴원 중인 상황이다.

홍성의료원 부설 공공 산후조리원은 2016년 12월 신생아들의 집단 폐렴 증세 감염 사고가 발생한 것을 계기로 임시 폐쇄 조치됐다.

이어 간호사 인력 부족 문제로 재개원을 하지 못한 채 현재까지 2년 넘게 휴업이 이어져 오고 있다.

서산의 민간 산후조리원 역시 간호사 수급 부족으로 2015년 6월부터 4년째 문을 닫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이유로 충북과 부산도 민선 7기 공약으로 공공형 산후조리원 설치를 내세웠다가 철회했다.

도는 보령 시민에 대한 설문 조사, 분만 취약지역 벤치마킹 등을 통해 산후조리원 건립 타당성을 조사한 뒤 산후조리원을 설치할지 혹은 대안으로 산후조리 지원사업을 확대할지 등을 결정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최근 열린 산후조리원 건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에서 청양군 한 여성 공무원은 관내에 산후조리원이 생기더라도 본인이라면 의료서비스 질이 더 좋은 대전으로 가겠다고 말했다"며 "공공형 산후조리원 건립이 원정출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한 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