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스마트시티’ 적용 노후도시 재생사업 추진
상태바
‘스마트시티’ 적용 노후도시 재생사업 추진
  • 서정익 기자
  • 승인 2019.07.14 15: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2년까지 전국 25개 이상 지역서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 뉴딜 전개
지자체 행정·재난망 정보도 통합
<전국매일신문 서정익 기자>

 ‘스마트시티’ 개념을 적용한 노후도시 도시재생 사업이 전국 25개 이상 지역에서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2019∼2023년)을 고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스마트시티는 ICT(정보통신기술)·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해 각종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한 도시를 말한다. 정부는 스마트시티를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의 하나로 선정해 육성하고 있다.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2022년까지 25곳 이상에서 노후도시에 저비용·고효율의 스마트시티 기능을 도입한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펼칠 예정이다. 지금까지 이미 대상 지역 12곳이 선정됐고, 7곳은 이런 내용의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을 수립한 상태다.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재난망 등 각종 정보시스템을 연계하는 ‘통합플랫폼’도 2022년까지 108개 지자체에 보급된다. 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 도시 운영을 위한 신규 연구과제(R&D) 실증사업이 대구와 경기 시흥에서 추진되고, 스마트시티 사업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 양성 차원에서 향후 5년간 450명을 대상으로 특화 교육도 진행된다.


 이 밖에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에서 아무 제약 없이 실험할 혁신기술을 정부가 선정해 해당 기업에 규제 특례와 실증사업비 등을 지원하는 ‘국가 시범도시 규제 샌드박스 활성화 사업’ 계획, 한국형 스마트시티 수출 계획 등도 이미 앞서 발표된 내용대로 이번 계획에 포함됐다.


 배성호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이번 종합계획은 개별 사업 추진 단계를 넘어 스마트시티를 둘러싼 혁신생태계 조성, 해외 진출 지원 등에 초점을 맞췄다”고 밝혔다.


 서정익기자 seo@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