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서민금융에 日자금 17조…보복시 ‘영향권’
상태바
서민금융에 日자금 17조…보복시 ‘영향권’
  • 서정익기자
  • 승인 2019.07.29 17: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축은행·대부업체 전체여신 22.7% 일본계 차지
日 금융보복시 서민 취약…당국 “동향 예의주시”

<전국매일신문 서정익기자 > 저축은행과 대부업계 등 한국의 서민금융시장에 풀린 일본계 자금이 17조 원을 넘어서 금융당국이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서민금융시장에선 일본계의 대출 점유율이 ¼에 육박하고 있어 일본이 금융 분야로까지 보복 조치를 확대할 경우 취약한 부분이 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8일 금융감독원이 자유한국당 김종석 의원과 민중당 김종훈 의원실에 제출한 일본계 금융사 여신 현황을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일본계 저축은행과 대부업체의 국내 대출은 17조 4102억 원이었다.


 이는 같은 시점 저축은행과 대부업체 전체 여신(76조 5468억 원)의 22.7%를 일본계가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5월 말 기준 일본계 은행 국내 지점의 총여신은 24조 7000억 원으로 1분기 말 기준 국내은행 총 여신 1983조 원의 1.2%에 불과하다.


 지난달 말 기준 국내 주식시장 내 일본계 자금 13조 원은 전체 외국인 주식자금(560조 원)의 2.3%이며, 채권시장 내 일본계 자금은 1조 6000억 원으로 전체 외국인 채권자금(125조 원)의 1.3%에 그친다.


 평시 상황에서 이처럼 낮은 비중은 일본계 자금이 빠져도 얼마든지 차환이 가능하므로 일본의 금융 보복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논리를 성립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국내 대표적인 서민금융시장인 저축은행과 대부업체의 경우 전체 대출의 ¼ 가까이를 일본계가 잠식하고 있으므로 이들이 자금 공급을 줄일 경우 급전을 구하려는 서민들에게 어려움을 줄 가능성이 제기된다.


 업권별로 보면 저축은행에서 일본계 금융사의 여신은 지난해 말 기준 10조 7347억 원으로 같은 시점 전체 저축은행 여신 59조 1981억 원의 18.1% 비중을 차지한다.


 일본계가 대주주인 저축은행은 전체 79개 저축은행 중 SBI와 JT친애, OSB, JT 등 4곳밖에 안 되지만 SBI가 대출 6조 456억 원으로 1위이고 JT친애가 8위, OSB 9위, JT가 18위로 상위를 휩쓸고 있다.
 대부업계는 이보다 상황이 더 심각하다.


 지난해 말 기준 최대주주의 국적이 일본인 대부업체가 19곳으로 같은 시점 등록 대부업체 8310곳의 0.2%밖에 되지 않았다.


 그러나 일본계 대부업체의 여신은 6조 6755억 원으로 전체 대부업 여신 17조 3487억 원의 38.5% 비중을 차지했다.
 이들이 자금 공급을 급속히 감축하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주로 개인신용대출 영업을 하는 일본계 대부업체의 대출 평균금리는 23.3%로 대부업체 전체 평균금리인 19.6%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대부업계 1위도 일본계인 산와머니로 지난해 말 기준 대출채권이 2조 1455억 원에 달한다.


 산와머니는 지난해부터 ‘한국 철수설’이 흘러나오더니 지난 3월부터는 기존 대출 회수만 하고 있다.


 국내 대출 시장에서 저축은행은 은행에서 대출이 안 되는 사람이나 한도가 꽉 찬 사람이 찾는 곳이다. 대부업체는 저축은행에서도 어려운 사람들이 가는 마지막 대출 시장이라는 특수성이 있다.


 이외 일본계 여신금융사인 오릭스캐피탈과 제이티캐피탈, 토요타파이낸셜도 지난해 말 기준으로 1조 2239억 원 상당의 대출을 국내에 실행해놓고 있다.


 서정익기자 seo@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