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최첨단' 표방 송도 G타워, 준공 1년만에 하자 수두룩
상태바
'최첨단' 표방 송도 G타워, 준공 1년만에 하자 수두룩
  • 인천/ 정원근기자
  • 승인 2014.06.26 07: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엔 등 국제기구와 국제도서관 등이 들어서 있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 내 33층 규모의 최첨단 건물인 ‘G타워’가 화재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 대형사고 우려와 부실시공 논란이 일고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25일 준공한 지 1년 된 G타워에 대해 최근 소방안전시설 정밀점검을 벌인 결과, 본관동^문화동^민원동^주차장 등 4곳에서 모두 98건의 위반 사항을 적발했고 밝혔다. 위반 내용의 상당 부분이 화재 발생 시 자동 작동되는 스프링클러의 누수현상은 물론, 화재 감지기와 방화셔터 동작 불량 등으로 나타나 화재 시 인명 사고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국제기구인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와 녹색기후기금(GCF),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ESCAP)가 입주한 본관 건물은 전체 위반내용의 46%에 달하는 45건이나 적발됐다. 유엔 자연재해 경감을 위한 국제적 전략기구(ISDR)와 GCF사무국이 입주한 4층과 11층은 자동화재탐지 발신기 불량과 방화셔터 가동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으로 지적됐다. 또 ESCAP 회의실에는 피난구가 설치돼 있지 않고, 22층과 27층은 피난구 유도등의 점등 상태가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 아시아 태평양 정보통신교육원(APCICT)과 동아시아 대양주철새이동파트너쉽(EAAFP) 등 국제기구가 들어선 2∼5층의 특별피난계단 출입구는 완전 폐쇄돼 있어 화재발생 시 계단을 통한 대피가 불가능하다. 특히 인천경제청이 위치한 28층의 스프링클러는 누수 현상이 나타났고, 27층은 화재 감지기조차 설치돼 있지 않았고, 문화동 1층 방재실의 경우 화재발생 상황을 소방서에 자동 전달해주는 자동화재 속보 설비도 없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민원동 1층 금융기관 현금지급기실에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돼 있지 않고, 2층의 방화셔터 작동도 제대로 안되고 있다. 지하 1층 주차장 역시 비상계단 출입문은 열감지기 동작 시 자동방화셔터 작동 불량으로 완전폐쇄가 안돼 불길 확산을 막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완공 1년 밖에 안 된 인천의 랜드마크인 건물이 준공 1년 만에 처음 실시한 소방안전점검에서 각종 문제가 드러났다”며 “시공사에 이른 시일 내 문제를 보완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공사인 대우건설 관계자는 “설계^시공상 문제가 아닌 일반적인 하자로 안전상 문제가 있으면 큰일 났을 것”이라며 “스프링클러 등 하자 문제를 조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천경제청이 지난 2010년 7월 대우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해 송도국제도시내 부지 2만4042.5㎡에 총 사업비 1854억 원을 들여 지하 2층, 지상 33층 규모로 착공한 G타워는 작년 5월 준공돼 현재 26개 기관이 입주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