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인근 주민 "20여년 참아"…서울·경기 "대체공간 없어"
상태바
인근 주민 "20여년 참아"…서울·경기 "대체공간 없어"
  •  인천/ 정원근기자
  • 승인 2015.02.09 08: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을 비롯 서울·경기 쓰레기를 처리하는 수도권매립지의 사용종료 시점을 둘러싸고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매립지를 언제까지 사용할 것인지의 문제가 최근 지역사회의 뜨거운 쟁점으로 떠오른 것은 매립지 사용종료 기한인 2016년 12월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지는 두 차례(상·하)에 걸쳐 현재 상황 및 대책 방안 등을 분석한다.  대체 매립지를 마련하지 못한 서울·경기는 “현 매립지에 쓰레기를 좀 더 묻게 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그러나 매립지 인근 청라.검단지역 40여만 주민들은 “20여년 간 겪은 악취.소음 등 환경피해를 더는 감내할 수 없다”며 “2016년 말 사용 종료 약속을 지키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그러면 2500만 수도권 주민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수도권매립지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매립지 인근 주민 ‘20여년 참았다. 2016년 종료’ 강조 인천시 서구 백석동에 있는 수도권매립지는 지난 1992년 2월 쓰레기 반입을 시작했다. 서울 난지도 폐기물 매립지가 포화상태에 이르자 당시 뻘이었던 공유수면을 매립, 1541만㎡ 규모의 거대한 매립지가 조성됐다. 조성 당시만 해도 2016년이면 매립지가 쓰레기로 꽉 차 더 사용할 수 없을 것으로 추산됐다. 사용종료 기한이 2016년 말로 정한 이유다. 그러나 1995년 도입된 쓰레기종량제로 사정이 바뀌었다. 매립지에 반입되는 쓰레기양이 절반 가까이 줄면서 현재 매립지 4개 구역의 절반은 비어 있다. 1매립장(404만 1000㎡)은 2000년 10월 매립이 끝나 대중 골프장 드림파크CC로 탈바꿈했다. 현재 쓰레기 매립이 이뤄지는 2매립장(355만㎡)은 매립률이 약 90%로 2017년 11월까지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3매립장(307만 1000㎡)과 4매립장(338만㎡) 부지는 기반공사가 이뤄지지 않아 당장 사용할 수는 없다. 침출수 처리시설과 가스 포집시설 등 기반시설을 구축하면 2044년까지 사용 가능할 것으로 예측됐다. 매립지 사용 시점을 둘러싼 갈등은 여기서 출발했다. 매립지 인근 주민들은 악취·소음 피해를 겪으면서도 매립지 사용이 곧 중단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2016년이 오기만을 기다렸다. 쓰레기 매립지가 문을 닫고 훗날 친환경단지로 탈바꿈하면 집값도 오를 것으로 기대했다. 그런데 매립지 사용기간을 더 연장해 달라고 하니, 주민 처지에서는 가만히 앉아 있을 수만은 없는 상황이 됐다. 주민들은 연일 규탄집회를 열며 매립지 사용종료를 촉구하고 있다. 매립지 조성 초기 주변은 허허벌판이었지만, 도시화의 진행으로 반경 5km 안에 청라국제도시와 검단신도시가 들어섰다. 어느덧 인천 서구에만 50만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서울시·경기도 ‘대체 매립지 없어’ 쓰레기 대란 절박 답답한 쪽은 서울시와 경기도다. 현 매립지에 반입되는 쓰레기 중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발생하는 양은 각각 44%, 40%로 상당한 비중이다. 인천 쓰레기는 16%에 불과하다. 대체 매립지를 확보하지 못한 서울시·경기도로서는 예정대로 2016년 말 매립지가 문을 닫으면 ‘쓰레기 대란’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절박한 입장이다. 서울시·경기도·환경부가 아무 대가 없이 매립지 사용 연장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수도권매립지 지분(서울시 71.3%, 환경부 28.7%)을 모두 인천시에 넘기고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관할권도 인천시에 이양하기로 했다. 매립지 주변 지역 개발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적극 협력하고, 폐기물 반입수수료의 50%를 가산금으로 징수해 인천시 특별회계로 전입하겠다고 약속했다. 인천·서울·경기·환경부 등 매립지 4자협의체가 지난달 9일 합의된 내용으로 인천으로서는 상당한 재정적 이득이다. 시는 “경제적 가치로만 따지면 향후 15년 간 6조 1500억 원의 경제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지분을 확보했다”고 설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은 여전히 2016년 매립지 사용 종료를 강조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