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국감 '총선·내분으로 마음은 콩밭에' … 견제 부실
상태바
국감 '총선·내분으로 마음은 콩밭에' … 견제 부실
  • 서정익기자
  • 승인 2015.09.16 23: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국감무용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올해 국정감사가 시작된지 1주일이 지났으나 정부의 정책 수행과 예산 집행 등 행정 전반에 대한 감시와 견제기능을 수행해야 할 국감이 여야간 정쟁의 장으로 변질되고 정책국감은 실종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내년 총선을 7개월 앞두고 열린 이번 국감은 역대 최다 피감기관수(정보위 제외 779개)를 기록했지만 내용 면에서는 부실하다는 평가를 피해가지 못하고 있다.
 올해도 시작 전부터 증인 신청을 둘러싸고 기싸움을 벌였던 여야는 고성 막말, 피감기관과 증인을 죄인 다루는 듯한 고압적 태도를 보이며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동료 의원의 질의태도를 문제삼아 “아프리카 수준”이라고 비하하고 피간기관장(김대환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장)에게 “저보다 오래 사셨지만 기업가들의 생리를 잘 모르는 것 같다”고 말해 ‘나이 폄하’ 논란을 일으킨 야당 의원도 있었다.
 이와 함께 이번 국감에서도 행정부의 실정을 예리하게 들춰내기보다는 노동개혁, 국사교과서 국정화,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의 ‘총선 필승’ 건배사 등 정쟁 거리가 메인 이슈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국감 시작 전 ‘민생국감’(새누리당), ‘4생 국감’(새정치민주연합) 등 민생을 앞장세웠던 여야의 다짐은 공허한 구호가 돼 버렸다는 지적이다.
 이런 평가가 제기되면서 “이런 국감이라면 더이상 할 필요가 있는지 진지하게 고민해 봐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를 내는 정치인도 적지 않다.
 특히 역대로 국감은 ‘야당의 무대’라는 평가를 받아왔지만 올해 새정치연합은 주류·비주류간 계파갈등이 격화되면서 예년처럼 국감 활동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문재인 대표가 공천혁신안의 의결을 자신의 거취 문제와 연계시키고 국민과 당원에게 재신임을 묻겠다고 언급하면서 국감에 대한 야당의 관심은 뒷전으로 밀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같은 현상은 결국 내년 4월 총선과 맞닿아 있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평가다.
 어떻게든 TV에 한 번이라도 얼굴을 더 보이고 중앙보다는 ‘지역 밀착형’ 국회의원이 늘어나면서 국감장에서 쇼맨십을 보이거나 아니면 아예 무관심한 경우가 늘어간다는 지적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