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금이 적기" vs "국정 발목"
상태바
"지금이 적기" vs "국정 발목"
  • 연합뉴스/ 안용수기자
  • 승인 2014.10.08 06: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제 블랙홀’을 이유로 한 박근혜 대통령의 개헌논의 ‘쐐기’ 발언 이후에도 개헌 공론화 찬반을 둘러싼 새누리당내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주류인 친박(친 박근혜)과 구주류 친이(친 이명박)계를 포함한 비주류간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계파 갈등 양상도 보이고 있다. 박 대통령이 야당은 물론 여당 일각의 개헌 주장에 “경제 블랙홀을 유발시킬 수 있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했지만 계파에 따라 견해를 달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친이계 좌장으로 통했던 이재오 의원은 7일 “세월호 정국에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면 행정부 수반이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 “그러나 우리나라는 행정부 수반이 대통령을 겸하고 있어 책임을 물을 수 없기 때문에 국정이 표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금년에 논의하면 블랙홀이고, 내년에 논의하면 블랙홀이 아닌 게 되느냐”면서 “새로 들어선 정권이 ‘경제 살리기도 급한데 무슨 개헌 논의냐’ 이렇게 하면 개헌을 또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다음 총선과 대선을 멀리 남겨 놓고 선거가 없는 지금이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시기”라면서 “김무성 대표도 국정감사, 정기국회가 마무리돼야 하지 않겠느냐는 것이지 개헌을 안하겠다는 게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당내 대표적 친박계 모임인 국가경쟁력강화포럼을 이끌고 있는 유기준 의원은 “대통령 집권 전반기에 개헌을 논의한다는 것은 힘빼기에 불과하다”면서 “지금 개헌을 다루면 민생 경제는 뒷전으로 밀리고 모든 것을 집어삼킬 수 있기 때문에 국정 발목잡기에 다름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유 의원은 국회 개헌 모임에 150명이 넘는 의원이 참여한 데 대해서는 “모두 개헌의 내용과 방향, 일정에 대해서 생각이 다르므로 의견 일치를 보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다른 친박 중진 의원은 “개헌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의원들을 보면 대체로 대권 도전은 어려울 것 같은 중진”이라면서 “국민 입장에서는 지역이나 세력을 등에 업고 권력을 유지하려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순수성을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