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청라에 첨단 신교통수단 도입 난항
상태바
청라에 첨단 신교통수단 도입 난항
  • 인천/ 정원근기자
  • 승인 2015.12.31 07: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국제도시에 첨단 신교통수단을 도입하는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30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청라국제도시에 애초 내년 운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던 바이모달트램(GRT·Guided Rapid Trasit)의 정식 개통 예정시기가 2017년 3월로 미뤄졌다.
 GRT는 전용차로에 설치된 전자기 또는 광학센서를 따라 시속 60∼70㎞로 운행되는 버스 형태 차량이다.
 자동운전이 가능하고 출발.도착시간 등을 정확히 지킬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청라국제도시에는 총연장 16.7㎞의 노선에 15개 정류장이 설치되고, 인천지하철 2호선, 서울지하철 7호선과 환승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그러나 국내에 처음 도입되는 탓에 준비 과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GRT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국토교통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신교통수단인데 세종시에서 시범운행 도중 수시로 고장을 일으키면서 도입 3개월 만에 철수된 바 있다.
 청라국제도시에서도 지난 8월 말 한차례 시승식을 했지만, 무인운전 차량에 대한 국내 관련 법령이 미비해 최대 100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는 유인운전 차량을 선보였다.
 인천경제청은 국토부에 GRT 도입 관련 법규 개정과 정비를 요청한 상태다.
 또 내년 3월까지 청라국제도시 사업주체인 LH가 제출할 신교통수단 기본·실시계획을 승인하고 GRT 차량에 맞춘 승강장 높이 조정과 신호체계 정비를 진행할 계획이다.
 시와 LH의 사업비 분담 문제도 풀어야 할 과제다. LH는 청라 아파트를 분양하면서 조성원가에 GRT 사업비 700억원을 포함시켰고, 이 가운데 이미 300억원을 인프라 구축 비용으로 썼다.
 하지만 실제 GRT 도입에 필요한 전체 사업비는 1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돼 이를 어떻게 분담할지를 놓고 GRT 운영주체인 시와 사업시행자인 LH간 협상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GRT 관련 법령 정비는 시가 직접 나설 수 없어 관계 부처에 요청한 상태이고, 사업비는 GRT 실시계획이 확정돼 구체적인 규모가 나와야 논의할 수 있다”며, “외부요인에 따른 변수가 워낙 많아 현재로서는 2017년 정식 개통도 장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