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임진강 수해 반복…남북 공동관리기구 설립해야"
상태바
"임진강 수해 반복…남북 공동관리기구 설립해야"
  • 한영민기자
  • 승인 2020.11.29 10: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봄 가뭄·여름 홍수 되풀이…경기연 "손익 분석해 협상 지렛대로"
지난 8월31일 임진강 상류 군남홍수조절댐을 방문한 이재명 경기지사. 경기도는 남북을 흐르는 임진강의 남북 공동 이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경기도 제공]
지난 8월31일 임진강 상류 군남홍수조절댐을 방문한 이재명 경기지사. 경기도는 남북을 흐르는 임진강의 남북 공동 이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경기도 제공]

임진강 유역 홍수피해가 매년 되풀이되자 경기연구원(경기연)이 이에 대한 대책으로 남북이 참여하는 공동관리기구를 설치하는 방안을 내놨다.

경기연은 29일 '기후위기시대, 남북이 함께하는 임진강'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임진강 물관리 방안을 정부와 지자체 당국에 제안했다.

임진강 유역은 최근 10년간 연 강수량의 60% 이상이 여름철에 집중되면서 홍수 피해가 발생하고, 반대로 봄철에는 심각한 가뭄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2014년 파주시 장단반도 일대의 농업용수 부족 사태와 올해 여름철 홍수 피해가 대표적인 사례다. 역대 최장 장마를 기록한 올해 6~8월 임진강 유역 평균 강수량은 1천47.8㎜로 직전 3년간 평균치(2017~2019년 605.7㎜)를 크게 웃돈다.

이런 기후 변화 영향에다 남북한 공유하천이라는 특수한 여건이 임진강 유역의 수자원 관리를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전체 유역면적 61%를 차지하고 있는 북한이 2000년대 들어 본류에 8개 댐을 건설해 용수와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이 중 2009년 가동을 시작한 황강댐은 저수용량이 가장 크고 위치가 남쪽에 가장 가까워 무단 방류, 유량 감소 등으로 경기북부 지역에서 피해가 빈발하고 있다.

황강댐 방류로 2009년 9월 야영객 6명이 사망했고, 이후에도 해마다 야영객 대피, 어구 손실 등이 발생했다. 올해 8월에도 주택 71채가 침수되고 군사시설 141곳과 하천 44곳이 유실돼 이재명 지사가 대북 유감 성명을 내고 남북 공동 이용 방안을 모색하겠다며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황강댐 대응용으로 군남댐을 건설해 2010년부터 가동하고 있지만, 올해와 같은 집중호우 때 저수용량이 5배나 큰 황강댐 방류가 겹치면 군남댐으로는 홍수조절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특히 황강댐과 군남댐 간 거리는 57㎞로 물이 도달하는 데 1시간밖에 걸리지 않은데다 만조 시간이 겹쳐 하류 물이 빠지지 않으면 피해가 더 커진다.

경기연은 동서독 간 협력 사례인 독일 엘베강 모델을 제시하며 "단기간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없는 현실을 고려해 북한과의 댐 운영 공조를 통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영무 연구위원은 "지리적으로 북쪽에 위치해 자신들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북한은 경제적 이익이 보장되고, 군사 안보적 위협이 없다는 확신이 있어야 협력에 참여할 것이므로 유역 공동관리에 따른 편익과 손실을 분석해 협상의 지렛대로 삼을 필요가 있다"며 "장기적으로 '공유하천 공동관리 기구'를 설립해 남북 협력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한영민기자
han_Y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