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與, 공멸 위기감 확산속.. 해법은 제각각
상태바
與, 공멸 위기감 확산속.. 해법은 제각각
  • 서정익기자
  • 승인 2015.04.20 03: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누리당이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 파문에 접근하는 주류와 비주류의 시각에 확연한 온도차가 감지되면서 균열 조짐마저 나타나고 있다. 친이(친이명박)계를 위시한 비주류와 소장파 의원들은 박근혜 대통령이 이완구 국무총리 거취 문제 등에 대해 “귀국 후 결정하겠다”고 밝혔음에도 이 총리가 즉각 사퇴하고 의혹에 연루된 사람들도 거취를 표명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선제적이고 ‘충격파’가 강한 특단의 조치를 통해 당 분위기를 일신하는 ‘사즉생’만이 해법이라는 입장이다. 반면 친박 주류는 이 총리 등 현직 인사들이 현 시점에서 물러나면 오히려 혐의를 인정하는 꼴이 돼 여권 전체가 위기를 맞을 수 있고, 공격의 화살이 곧장 대통령으로 향하기 때문에 지금은 계파를 떠나서 단결해 안정된 체제로 위기를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런 가운데 당 지도부는 일단 박 대통령의 남미 순방 기간에는 의원총회를 열지 않기로 하는 등 최대한 언급을 자제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일부 의원들이 특검 도입 및 이 총리 사임 촉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의총 소집을 요구했지만 유승민 원내대표를 비롯한 원내지도부는 이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양해를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귀국일(27일)이 아직 한참 남은 만큼 그동안 예상치 못한 변수가 생길 경우 공개적인 목소리를 냈던 의원들이 들고일어나면서 당 내부에서 충돌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4·29 재보선을 이틀 앞두고 귀국하는 박 대통령의 부재기간 김무성 대표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성완종 파문에서 벗어나기 위한 해법을 놓고 이처럼 당내 이견이 드러나고 있지만 이번 사태가 재보선에 악재가 될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어 보인다. 이번 일이 벌어지기 전에는 재보선이 치러지는 4곳 중 3곳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부풀어 있었지만 예상치 못한 돌발 악재로 이제는 ‘전패’ 가능성을 걱정하는 분위기다. 특히 멀리 보면 내년 총선과 내후년 대선까지도 이번 파문의 영향권 안에 들 수밖에 없고, 나아가 박근혜 정부가 국정주도권을 야당에 내주고 표류하면서 여권이 공멸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마저 나돌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