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경북도 "농업, 첨단기술산업 전환 속도"
상태바
경북도 "농업, 첨단기술산업 전환 속도"
  • 경북/ 신용대기자 
  • 승인 2022.06.16 16: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선8기 농정비전 선포···스마트팜 확산·고도화 농촌공간 재창출
유통분야 4차 산업기술 접목 첨단산업화···돌봄농업 인프라구축 등 스마트화
경북도청사 전경.
경북도청사 전경.

경북도가 스마트 팜 확산과 고도화로 농업을 첨단기술산업으로 전환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도는 16일 민선8기 농정비전으로‘농업은 첨단산업으로! 농촌은 힐링공간으로!’를 선포하고 이를 구체화할 정책발표와 토론회를 가졌다.

새 농정비전은 최근 빅데이터, 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기술이 일반화 되면서 농업분야의 위기를 4차 산업기술 접목을 통한 첨단화와 농촌 공간 재창출을 통해 극복하자는 데 있다.

이러한 핵심가치는 스마트 농업의 확산 및 고도화 통해 농업분야를 첨단기술 산업으로 대전환 하고 그간 주거기능으로 제한되던 농촌공간을 문화복지환경이 함께 증진되는 삶과 상생의 공간으로 재탄생 시키는데 있다.

도는 비전 실현을 위해 디지털 혁신 농업타운조성, 시설원예분야 스마트화율 25%달성, 스마트농업클러스터 구축, 청년농업인 5천명 양성, 돌봄농업육성, 농업기반시설 스마트화 등 총 20개 실천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민선8기 농업분야 최우선 시책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 중 특히 디지털 혁신 농업타운과 시설원예분야의 급속한 스마트팜 전환이다. 디지털 혁신 농업타운은 도가 준비 중인 신개념 농촌마을로 그간 개별 지원을 통해 개인별 농업역량을 증진시키던 농업정책에서 완전히 탈피했다.

이는 마을 전체를 영농법인화 시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스마트팜과 식물공 등의 첨단산업을 구심점으로 공동영농체계를 갖춰 청년농업인과 기존농업인이 함께 공존하는 마을을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또 현재 4.6% 수준인 시설원예분야 스마트화율을 2026년까지 25%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비용부담이 큰 신규시설 설치보다는 기존 시설의 개선과 센서부착 및 빅데이터 제공 등을 통해 스마트팜을 전공하지 않은 기존 농업인도 손쉽게 첨단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는 복안이다.

이날 제시된 사업과 토론회의 제안사항은 ‘지방시대 주도 경상북도 준비위원회’에 제출돼 위원회의 추가 발굴사항과 함께 경북 농정발전 현안으로 집중 검토해 구체화 될 전망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4차 산업기술 시대를 맞이하는 지금 농업도 변화하지 않으면 경쟁력을 상실 할 수밖에 없어 농업의 첨단산업화와 농촌공간의 재창출을 위한 시책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전국매일신문] 경북/ 신용대기자 
shinyd@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