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美달러 10∼15% 더 오른다…경계심 가져야"
상태바
"美달러 10∼15% 더 오른다…경계심 가져야"
  • 홍상수기자
  • 승인 2022.10.20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경제연구원,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석좌교수 초청
르고프 "내년 세계 경제 심각한 침체에 빠질 가능성 충분"
웨비나 "달러 초강세 대응 중요…초저금리 시대 끝났다"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석좌교수가 20일 세계경제연구원 주최로 열린 '글로벌 금융시장 긴급진단 : '글로벌 거시경제 위험과 정책적 시사점 : 이번에는 정말 다른가?' 웨비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웨비나 화면 캡처]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석좌교수가 20일 세계경제연구원 주최로 열린 '글로벌 금융시장 긴급진단 : '글로벌 거시경제 위험과 정책적 시사점 : 이번에는 정말 다른가?' 웨비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웨비나 화면 캡처]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석좌교수는 20일 "미국 달러가 10∼15% 더 강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밝혔다.

로고프 교수는 20일 세계경제연구원이 '글로벌 거시경제 위험과 정책적 시사점 : 이번에는 정말 다른가?'를 주제로 개최한 웨비나에서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들은 경계심을 가져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로고프 교수는 "미국 달러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 금리 인상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초강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정점을 보기까지는 아직 10∼15% 정도 더 강세로 갈 여지가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미 연준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리는 가운데 미국은 에너지 자급·원자재 수출국이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경제적 충격이 상대적으로 덜 하고, 위기 시에는 선진 강대국보다는 소규모 신흥국들이 더욱 취약하다는 점 등이 '킹달러'(달러 초강세) 현상을 낳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현재까지는 신흥국에 미치는 달러 강세의 영향이 제한적이지만, 달러 강세가 추가로 진행될 경우 신흥국·취약국들은 심각한 경제적 역경에 직면할 수 있다"며 한국도 단기적으로는 연준의 금리 인상과 달러 초강세에 잘 대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정책적 과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고프 교수는 세계 경제 전망에 대해 "최근 IMF의 수정경제 전망보다는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며 "유럽뿐 아니라 미국이 2023년 심각한 침체에 빠질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로고프 교수는 경기침체 우려 속 글로벌 금융시장 충격, 특히 최근 영국발 금융시장 패닉에 대해서는 "이제 시장이 정부의 방만한 적자 재정·정책 실패 등에 대해 덜 관용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새로운 시대가 시작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 이상 지속된 초저금리 시대도 사실상 막을 내렸다며 "장기 실질금리는 미국발 금융위기 이전인 2003∼2006년 수준과 유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로고프 교수는 중국 경제와 관련해서는 부동산 부문 부실과 과도한 정부부채 등 구조적 문제들을 언급하며 IMF가 제시한 내년 성장률 4.4%도 달성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일본의 경우 코로나19 관련 규제 완화가 본격화됨에 따라 경기 반등·물가 상승이 나타날 것이라며 이는 정책금리 인상·엔화의 반등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국매일신문] 홍상수기자
HongSS@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