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전우원씨, 광주 재방문…5·18 유족들 "할아비는 한번도 안오더니"
상태바
전우원씨, 광주 재방문…5·18 유족들 "할아비는 한번도 안오더니"
  • 박문수 기자
  • 승인 2023.05.17 13: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3주년 5·18 민주화운동 추모식 엄수…유족회 주관
'전두환 손자' 전씨, 항쟁 43주년 앞두고 묘지 참배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추모제례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추모제례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5·18 민주화운동으로 희생된 영령들을 추모하는 5·18 민중항쟁 제43주년 추모식이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엄수됐다.

전두환의 손자 전우원 씨도 유가족과 동석했다.

추모식이 열리기 전 취재진과 만난 전우원 씨는 "다시 오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기념식이 열리기 전 찾아온 것"이라며 "소중한 자리 만들어주셔서 감사하고 이 자리에 제가 올 수 있다는 게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손자인 전우원 씨가 17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추모제례에 참석해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손자인 전우원 씨가 17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추모제례에 참석해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추모식은 국가 기념식과 별개로 5·18 유족회가 주관해 매년 열리는 추모식은 1부 희생자 제례와 2부 추모식 등으로 나눠 열렸다.

희생자 제례는 양관석 5·18 유공자유족회 전남지부장, 황일봉 5·18 부상자회장, 정성국 5·18 공로자회장 등이 각각 초헌, 아헌, 종헌을 맡아 희생자들의 넋을 기렸다.

2부 순서로 마련된 추모식에는 양재혁 5·18 유공자유족회 회장 등 오월 단체 유족, 강기정 광주시장, 박창환 전남도 정무부지사, 정홍식 광주지방보훈청장, 원순석 5·18 기념재단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5·18 민주묘지에는 오월 영령을 잊지 않으려는 추모객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열사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는 추모 제례가 열리기 전부터 묘역을 찾은 추모객들은 묘비에 적힌 기구한 사연을 읽으며 눈시울을 붉혔다.

5·18 당시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장 박관현 열사의 누나 박행순 씨(73)는 올해도 누군가 두고 간 국화 송이를 바라보며 동생을 그리워했다.

세 살 터울 동생이지만, 집안의 장남이었던 박 열사는 가족들에게 든든한 기둥이었다.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추모제에 참석한 김정선 열사의 유족들이 오열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추모제에 참석한 김정선 열사의 유족들이 오열하고 있다. [연합뉴스]

1980년 당시 서른살이었던 박씨는 "대규모 인파 앞에서 '민주주의 꽃을 이루자'고 외쳤던 동생의 연설 모습이 지금도 눈가에 선하다"고 담담하게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는 감회가 남다른 5월을 맞았다"고 덧붙였다.

박씨는 "단 한 번도 사죄하지 않던 할아비 죄를 손자가 대신 무릎까지 꿇고 빌었다"며 "해묵었던 분노와 설움이 조금이나마 풀렸다"고 말했다.

이날 추모제례에 전씨가 예고 없이 참석하자, 다른 유가족도 오월 어머니들도 그의 행동에 박수를 보냈다.

전씨는 이날 마주한 유가족 한 사람 한 사람에게 허리 숙여 재차 사죄했고, 오월 어머니들은 "할아비와는 다르다 이렇게 또 와줘서 고맙다"며 위축된 그의 등을 다독이고 반겼다.

추모제례가 끝나고 전씨는 유가족과 추모객 행렬의 뒤쪽에 줄 서서 5·18묘지 참배단에 분향, 헌화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손자인 전우원 씨가 17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추모제례에 참석해 헌화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손자인 전우원 씨가 17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추모제례에 참석해 헌화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씨는 참배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오늘은 저보다는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이 기억됐으면 한다. 말할 자격도 없지만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말했다.

지난 3월 이후 두 번째인 전씨의 광주 방문은 5·18기념재단이 항쟁 43주년을 앞두고 초청하면서 이뤄졌다.

전씨는 이날 오후 광주 동구 메이홀에서 열리는 '오월 어머니들의 그림 농사' 특별전을 관람하고, 병원에 입원 중인 5·18 유공자 등을 만날 예정이다.

첫 방문이었던 지난 3월에는 사흘 동안 광주에 머물며 5·18 유가족을 만나고 5·18묘지를 참배해 할아버지의 만행을 사죄했다.

[전국매일신문] 박문수기자
pms5622@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