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한국연구재단, 습식기반 고체 전해질 합성공정 개발...기존 전고체 공정문제 해결
상태바
한국연구재단, 습식기반 고체 전해질 합성공정 개발...기존 전고체 공정문제 해결
  • 대전/ 정은모기자
  • 승인 2023.06.06 16: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학교 김동완 교수 연구팀이 기존 전고체 전지의 공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습식기반의 고체 전해질 합성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학교 김동완 교수 연구팀이 기존 전고체 전지의 공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습식기반의 고체 전해질 합성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학교 김동완 교수 연구팀이 기존 전고체 전지의 공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습식기반의 고체 전해질 합성공정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최근 전기차 및 큰 규모의 에너지저장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안전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은 2차전지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리튬이온 전지는 양극, 음극, 전액질, 분리막으로 구성된다. 반면, 전고체 전지는 고체 전해질이 전해질뿐 아니라 분리막 역할까지 대신해 에너지 밀도가 높은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차세대 전고체 전지의 핵심소재인 황화물계 리튬이온 전도체는 다량의 에너지와 시간을 필요로 하는 합성공정으로 제조되는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생산성 감소, 순도 저하, 높은 전기전도도 등의 한계점을 해결하지 못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진은 기존 합성공정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높은 리튬이온 전도도, 분리막 기능, 낮은 전기전도도 등의 조건을 충족하면서도 대량 합성이 가능한 재료를 탐색, 원료 물질과 마이크로파의 시너지 작용을 이용한 습식공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마이크로파 합성공정을 활용하면 원료 물질과의 부반응 없이 간단한 건조 및 열처리 공정을 통해 고순도의 고체 전해질 생산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소량의 에너지만으로도 단시간에 고순도의 고체 전해질 합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습식공정의 문제점들을 한 번에 해결했다.

마이크로파 합성공정은 가정용에서 소비되는 2.45GHz의 전자기파의 형태로 전기에너지를 직접 반 응물에 조사하는데 이 경우 에너지 변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량을 줄일 수 있어 비용 절감과 에너 지 사용 효율화가 가능하다.

[전국매일신문] 대전/ 정은모기자 
J-e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