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소 럼피스킨병 확진 전국으로 확산하나
상태바
소 럼피스킨병 확진 전국으로 확산하나
  • 박문수 기자
  • 승인 2023.10.23 15: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흘간 14건…경기·충남·충북서도 발생
농식품장관 “638마리 살처분…더 늘것”
“백신접종 3주 뒤 살처분 범위 축소 검토”
소 럼피스킨병 확진 판정을 받은충북 음성군 원남면의 한 축산농가에서 23일 방역 요원들이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연합뉴스]
소 럼피스킨병 확진 판정을 받은충북 음성군 원남면의 한 축산농가에서 23일 방역 요원들이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연합뉴스]

소 바이러스성 질병인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가 14건으로 늘어났다. 

소 럼피스킨병은 지난 20일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후 전날까지 사흘간 경기와 충남에서 모두 10건 보고됐으나 이날 추가로 경기 김포시 한우농장, 충남 서산과 당진시 한우농장, 충북 음성군 한우농장 등에서 4건이 확인됐다.

정부는 이와 별개로 의심사례 3건에 대해서도 검사를 진행 중이어서 확산할 조짐이다.

이 병은 모기 등 흡혈 곤충에 의해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감염된 동물에서 고열, 피부결절(혹)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우유 생산량 급감, 유산·불임 등의 문제가 생긴다.

폐사율은 10% 이하이며 사람에게 전염되지는 않는다. 

정부는 럼피스킨병이 발생한 농장에서 사육하는 소는 모두 살처분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 장관은 "전염력이 강해 세계적으로 처분 방법은 유사하다"며 "농장 단위에서 살처분하지 않으면 주변으로 퍼져 나갈 위험이 크고, 유통망으로도 퍼져 나갈 수 있어 최소한의 살처분 범위가 현재는 농장이라고 결론 내렸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확진 사례와 관련 "지금 모두 14건으로 늘어났고 638마리가 살처분됐다"며 "확진 사례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추후 살처분 범위를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도 전했다.

정 장관은 국민의힘 최춘식 의원의 관련 질의에 "백신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니 3주 정도가 지난 뒤에는 증상이 발현된 개체만 처분하는 쪽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전염력이 강해 세계적으로 처분 방법은 유사하다"며 "농장 단위에서 살처분하지 않으면 주변으로 퍼져 나갈 위험이 크고, 유통망으로도 퍼져 나갈 수 있어 최소한의 살처분 범위가 현재는 농장이라고 결론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럼피스킨병은 구제역과 달라서 농가에 책임을 물을 단계는 아니고, 살처분에 대해 100% 보상을 지급한다"고 부연했다.

[전국매일신문] 박문수기자
pms5622@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