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경기도의회 유영일 도시환경위 위원장, 초고령사회 대비 커뮤니티 기반 도시정비 방안 논의
상태바
경기도의회 유영일 도시환경위 위원장, 초고령사회 대비 커뮤니티 기반 도시정비 방안 논의
  • 한영민기자
  • 승인 2024.06.10 16: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시 지속성 제고 위한 토론회
유영일 경기도의원. [경기도의회 제공]
유영일 경기도의원. [경기도의회 제공]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유영일 위원장이 좌장을 맡은 '도시의 지속성 제고를 위한 커뮤니티 기반의 도시정비방안' 토론회가 최근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도의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커뮤니티 기반의 도시정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도시, 주거, 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고령인구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 실현을 위한 도시 조성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진희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초고령사회 대비를 위해서는 커뮤니티 기반의 도시공간 조성을 통해 노인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주거안정성 확보, 지역사회에 적극적인 참여 기회 제공, 최적의 보건의료서비스와 일상생활 지원에 필요한 접근성 제고 방안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태형 경기도의원은 첫 번째 토론을 맡아 "지역별 맞춤형 지원을 위해서는 경기도형 AIP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의료, 주택, 교통, 금융, 인력 등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범현 교수는 네 번째 토론을 맡아 "중앙정부의 도시계획수립지침에 AIP 개념을 반영하고 경기도형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재정비사업 후 노인들이 계속 거주가 가능하도록 금융 등의 지원방안을 마련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최종구 안산시 법무자문관은 "AIP 지원 조례안은 노인친화도시가 아닌 도민들이 평생 살아가기에 좋은 도시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고 발언했다.

이계삼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경기도가 조성하는 도시는 아동, 여성, 장애인, 노인 등 모두를 돌보는 도시가 되도록 실국이 협력할 것이며 사회적 참여를 이끌겠다"라고 강조했다.

유영일 위원장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노인의 84%는 현재의 집에서 계속 거주하기를 희망하며 희망이 실현되는 도 조성을 위한 조례를 제정해 요람에서 무덤까지 도민의 일생을 책임지는 선도적인 도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한영민기자
han_Y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