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경기도,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경기똑D’로 도민 맞춤형 행정서비스 제공
상태바
경기도,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경기똑D’로 도민 맞춤형 행정서비스 제공
  • 한영민기자
  • 승인 2025.02.10 10: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마이데이터 플랫폼 운영 및 사업 추진 방안 착수보고회 개최
도민카드 활용처 추가, 사용자 편의성 향상 서비스 기능 개선 등 추진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는 10일 경기도청사에서 ‘2025년 마이데이터 통합 플랫폼 운영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에는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을 비롯해 관련 사업 부서 담당자와 사업 수행 관계자 등 10여 명이 참석해 경기도 마이데이터 통합 플랫폼 ‘경기똑D(경기똑디)’ 운영과 서비스 개선에 대한 방안을 논의했다.

경기똑D는 ▲나와 가족이 받을 수 있는 복지와 채용 정보를 매칭해 주는 맞춤 정보 ▲마이데이터를 활용해 공공시설, 공공주차장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도민카드(다자녀카드 등) ▲행정 서류를 내 휴대전화에 저장해 사용하는 전자지갑 기능 등 마이데이터를 활용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도는 도민카드 활용처와 콘텐츠 확대를 위해 올 3월부터 시군 공공시설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추진하고, 분기별로 모바일 다자녀 카드 사용을 희망하는 시군의 수요를 조사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부터 생성형 AI를 활용해 경기도, 시군, 공공기관별 수혜 정보를 수집하고, 복지 정보 선별·가공을 거쳐 개인 맞춤형 복지·채용 정보를 추천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도내 공공서비스의 One-ID(통합 아이디)를 연계해 온라인 신청 서비스를 간편하게 하고, 생체인증 간편 비밀번호 기능 구현, 사용자 희망 자원봉사실적 혜택 추가, 질의답변 창구 개설 등 플랫폼의 기능을 개선한다.

경기도 김기병 AI국장은 “경기도 마이데이터 통합 플랫폼 운영 사업은 도민들에게 경기똑D앱을 통한 도민카드 할인혜택 등 실질적인 마이데이터 기반 맞춤형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사업”이라며 “향후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공공서비스의 발전을 이끌어나가겠다”고 말했다.

경기똑D는 경기도의 각종 정책에 대한 혜택을 연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지난해 11월에는 경기도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를 발굴하는 경기도 희망보듬이 대상 혜택 카드와 임신·육아 맞춤 정보 제공 콘텐츠를 추가했다. 또한 현재 위치 기반 인근의 공공시설의 위치를 지도로 제공하는 등 사용자 편의성 제공을 위한 전면적인 앱 개편을 실시했다.

한편, 경기도는 실물 카드로만 활용되던 다자녀카드를 경기똑D 모바일 카드에 접목한바, 2023년 안산, 화성 2개 시를 시작으로 2024년 고양, 과천, 구리, 오산, 포천 등 7개 시까지 이용 시군을 확대했으며, 공공주차장 혜택처도 2023년 597개소에서 2024년 709개소까지 추가 확보했다.

[전국매일신문] 한영민기자 
han_Y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