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서해 5도 어민 대청도 해상서 '시위'
상태바
서해 5도 어민 대청도 해상서 '시위'
  • 인천/ 맹창수기자
  • 승인 2014.11.27 09: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으로 경제적인 피해를 본 서해 5도 어민들이 26일 어선을 몰고 대규모 해상 시위를 벌였다.서해 5도 중국어선 불법조업 대책위에 따르면 이날 오전 인천시 옹진군 대청도 인근 해상에서 대·소청도와 백령도 등서해 5도 어민 200여명은 어선 60여척에 나눠 타고 대청도 인근 해상에 집결해 중국어선 불법조업 피해보상과 재발방지 대책을 촉구하는 시위를 했다는 것.‘생존권 보장’이라는 글씨가 적힌 머리띠를 두른 어민들은 ‘중국어선 방치하면 영토주권 소용없다’, ‘정부는 생계대책 마련하라’ 등이 적힌 플래카드를 배에 걸고 시위를 벌였다. 대책위는 “생업을 포기하고 해상 시위에 나섰다”면서 “우리의 생존권을 지킬 다른 방법을 찾을 수 없어 선택한 시위”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책위는 “정부가 지난 20일 발표한 중국어선 불법조업 대응방안에 어민들에 대한 직접적인 보상 대책은 일언반구도 없다”며 경제적인 보상책 마련을 촉구했다.인천해양경비안전서와 해군은 경비함정 2척, 고속정 2척, 고속보트 3척을 비롯해 해경 90여명을 시위 해상에 투입,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관할 옹진군도 어업지도선 4척을 배치해 안전사고 예방에 나섰다. 과거 북한 해역에서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나들며 조업하던 중국어선들은 최근 우리 어장 내부에 들어 와 치어까지 싹쓸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리 어민들이 설치한 어구를 훔쳐가거나 훼손한 뒤 달아나기도 한다. 정부는 지난 20일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중국어선 불법조업 대응방안’을 발표했다. 특히 정부는 단속에 저항하는 중국어선의 폭력 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대형함정, 헬기, 특공대로 구성된 기동전단 등 중국어선 전담 단속팀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하지만 서해 5도 어민들은 직접적인 피해 보상책이 빠졌다며 반발하고 있다. 한편 올해 서해 5도 인근 해상에서 불법조업을 하다가 나포된 중국어선은 총 34척으로 승선원 53명이 구속되고 41명이 불구속 입건됐다. 2012년과 지난해에는 각각 62척과 42척이 나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