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여수산단 잇단 화재 ‘여수시’도 책임”
상태바
“여수산단 잇단 화재 ‘여수시’도 책임”
  • 여수/ 나영석기자
  • 승인 2017.08.16 07: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민협 “市·여수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제기능 못해 해마다 인명피해 속출”


 전남 여수국가산단내 대기업들의 잇딴 화재·가스누출은 여수시와 여수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새롭게 제기됐다.


 (사)여수시민협은 최근 성명에서 GS칼텍스 등 재벌기업들의 화재와 가스누출사고는 여수시가 시민 안전을 외면한 채 ‘친 기업정책’에만 치중하고, 여수화학재난합동센터는 ‘전문인력 부족’ 등으로 제 기능을 다하지 못 한데서 비롯됐다며 각성을 촉구했다.

   단체는 시의 경우 주철현 시장 취임 후 2014년 11월 청내 국장급 기구인 ‘산단환경사업단(단장 전동호)’을 신설, 기존의 ‘산단지원’과 ‘환경 관리문제’를 동시에 묶어 친 기업 정책에 몰입, 시민 안전과 거리가 먼 정책을 펴 질타 받은 바 있다고 했다.


 여수시민협은 사고 대비에 앞서 예방이 중요하고, 예방키 위해서는 노후 설비를 교체해야 하는데도 시가 이같은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는 지난 12일 폐막한 ‘여수밤바다 불꽃축제’ 행사비 가운데 5000만 원을 올들어 화재를 일으킨 업체들의 단체인 공장장협의회에서 지원받은 것으로 15일 확인됐다.


 여수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역시 2012년 구미불산 누출 사고 이후 정부차원에서 화학사고에 효율적으로 대처키 위해 지난 2014년 출범했으나,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고했다.


 방재센터는 지난해 12월 사업비 47억 원을 들여 산단에 신청사를 짓고 화학분석차량, 고성능화학차, 무인파괴방수차 등 157종에 607점의 장비와 40여 명의 인력을 갖췄으나 전문인력 부족 등으로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민협은 방재센터의 분야별 전문 인력을 현재보다 2배 이상 늘리고, 전문 인력이 각 업체를 정밀 진단해 노후화된 설비를 교체토록 권고한 뒤 그 사실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체는 이어 근본적인 대책수립과 안전진단을 강화하고, ‘산단 전체 안전매뉴얼’을 만들어야하며 시는 전체 재난방지 안전매뉴얼을 만들어 시민들이 유사시 안전하게 대피토록 해야한다고 주문했다.


 박성주 여수시민협 사무처장은 “시는 화학사고 예방·대응 정보를 공개하고, 화학사고로부터 시민의 안전성 확보에 전력을 다하라”고 거듭 촉구했다.


 박 처장은 이어 “산단 특성상 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형 재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데도 업체들이 노후설비 개선 등 근본대책을 소홀히해 빈번하게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 여수산단에서는 지난해 모두 9건의 안전사고가 발생, 6명이 숨지고 8명이 다치는 등 매년 안전사고와 화재로 인해 귀중한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올들어 지난 1월 롯데케미칼의 방사능 유출사고, 2월 삼남석유화학 화재, 5월 한화케미칼 화재, 7월 롯데케미칼 폭발, 8월 한화케미칼과 이번 2차례 연이어 발생한 GS칼텍스 화재, 남해화학 대기오염물질 배출 등 각종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