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전남도, 광역지자체 첫 인구소멸 위험단계 직입
상태바
전남도, 광역지자체 첫 인구소멸 위험단계 직입
  • 남악/ 권상용기자
  • 승인 2017.09.07 09: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군구 85곳-읍면동 1490개 ‘위험’
경북 읍면동 260개도 위험지역 분류

 전남이 인구소멸 위험 단계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6일 한국고용정보원의 ‘한국의 지방소멸 2’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7월 현재 전남 20∼39세 여성인구는 19만6000명으로 65세 이상 인구(40만5000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앞으로 30년 이내 특정 지역의 생존 가능성을 가늠하게 하는 소멸 위험지수는 0.48이었다. 소멸 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로 나눈 것이다.
 지수가 1에 못 미치면 쇠퇴 위험 단계에 진입하고 0.5 미만은 소멸 위험, 0.2 미만은 소멸 고위험 단계로 본다.


 비수도권의 모든 도 지역이 1 아래로 떨어졌다. 전남이 처음으로 0.5 미만으로 떨어졌으며 경북 0.58, 전북 0.60, 강원 0.61, 충남 0.70, 충북 0.76 등을 기록했다.
 시·군·구 기준으로 228곳 가운데 37.3%인 85곳은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2014년 7월보다 6곳, 지난 5년간 10곳이 늘었다.


 부산 동구(0.47)와 영도구(0.46) 등은 지난해, 경북도청 소재지인 안동시(0.48)는 올해 소멸 위험 단계로 진입했다.
 광역시 기초단체 가운데는 기존 인천시 강화군, 옹진군이 소멸 위험 지역이었지만 이들 지역은 대도시 세력권으로 보기 어렵다.


 지방소멸 문제가 농어촌 낙후 지역뿐 아니라 지방 대도시 권역이나 공공기관 이전이 진행되는 거점까지 확산한 것을 의미한다고 고용정보원은 설명했다.


 경북 의성군(0.158), 전남 고흥군(0.167), 경북 군위군(0.174), 경남 합천군(0.174) 등은 지수가 가장 낮은 지역이었다.
 읍·면·동 기준으로도 소멸 위험지역은 3708개 중 1490개(40.2%)나 됐다. 전남은 323개 중 262개(81.1%), 경북은 351개 중 260개(74.1%)가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