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해서는 안된다
상태바
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해서는 안된다
  • .
  • 승인 2018.03.06 14: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모든 수입 철강·알루미늄 제품 고율 관세 부과 결정으로 인해 촉발된 미국과 유럽연합(EU) 간 무역전쟁 위기가 점차 더 격화하고 있다. EU는 5일 미국이 EU의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불공정하고 일방적인 조치를 취하면 이에 상응한 보복조치로 대응할 것이라고 거듭 경고했다. 마르가리티스 시나스 EU 집행위 대변인은 이날 브뤼셀 EU 본부에서 한 정례 브리핑에서 "통상정책은 '제로섬 게임'이 아니고, 승자와 패자의 문제가 아니다"며 "통상은 '윈-윈'이 될 수 있고,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상대방이 수천 개의 유럽 일자리를 위협하는 불공정하고 일방적인 행동을 하면 머리를 모래 속에 처박고 있을 수만은 없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주에 미국의 국가안보를 내세워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제품에 25% 관세, 알루미늄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겠다고 밝혔고, 이렇게 될 경우 유럽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의 미국 수출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EU의 행정부 수반 격인 장클로드 융커 EU 집행위원장은 미국이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고율관세를 부과하면 EU는 미국에서 유럽으로 수입되는 할리 데이비드슨 오토바이, 미국산 위스키, 청바지 등에 보복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맞불'을 놓았다. 이런 가운데 EU는 7일 EU 집행위 회의에서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제품 고율 관세 부과 결정에 대한 대응방안을 공식 논의한다.
EU로부터 보복관세 움직임이 나오자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산 제품에 부과되는 보복관세만큼 유럽산 수입품에도 보복관세를 매기는 '호혜세'(reciprocal tax) 도입 등 추가 수입 규제조치를 예고하며 맞불을 놨다. 미국 자동차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BMW·폴크스바겐·아우디 등 유럽 브랜드를 겨냥한 조치란 분석이다. 양측의 강경 대치는 철강·자동차·농산물·주류·의류 등 거의 모든 산업에서 '대서양 통상전쟁'의 서막을 예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국과 인접한 캐나다도 트럼프의 관세 부과에 노골적 불쾌감을 표시하면서 대응책을 마련 중이고, 미국의 동맹국 일본도 조심스레 대응조치를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트럼프의 '통상 폭주'가 멈추지 않을 경우 국가 간 보복과 보복이 악순환 하면서 금융위기 이후 침체에서 어렵게 상승 흐름을 탄 세계 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이 우려된다.     


트럼프의 관세 방침을 놓고 미국 내 저명 학자들과 유력 언론은 비판 목소리를 잇달아 내고 있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는 방송에서 "지금이 대공황 당시 발생했던 상황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도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가 대공황을 부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러가 언급한 대공황 때 사례는 1930년 미국이 제정한 '스무트-홀리법'에 따른 파장을 말한다. 1929년 뉴욕증시가 폭락하자 이듬해 허버트 후버 대통령은 구조조정을 통한 자국 산업경쟁력 강화 대신 수입품에 59%의 관세를 매기는 인기영합 정책을 택했다. 이에 맞서 영국·프랑스 등 유럽국가들도 관세를 올리는 바람에 전 세계 교역량이 크게 줄고 공황이 세계로 번지며 장기화하는 사태를 맞았다.


세계 각국은 대공황의 악몽에서 벗어난 뒤 1947년 '관세·무역 일반협정'(GATT)을 출범시켰고, 1995년에 WTO로 대체해 오늘날까지 자유무역 기조를 이어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산업 보호와 선거 때 지지층 결집이란 눈앞의 이익이 급급해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공식 서명할 경우, 역사의 수레바퀴를 되돌리는 결과를 초래할지도 모른다. 조지 W. 부시 행정부는 2002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한국산 등 수입 철강 제품 관세를 8%에서 30%로 올렸다가 자국 내 철강소비업종에서 일자리 20만 개가 사라지는 역풍을 맞았다. 이어서 상대국의 보복관세마저 당하자 결국 21개월 만에 관세 인상을 철회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면교사로 삼았으면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