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바른미래·평화당, 지방선거 존재감 ‘미미’
상태바
바른미래·평화당, 지방선거 존재감 ‘미미’
  • 김윤미기자
  • 승인 2018.05.08 16: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13 지방선거를 불과 한 달여 앞두고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이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저조한 당 지지율은 반등의 기미조차 보이지 않고, 인물난까지 겹쳤다.
 바른미래당은 지방선거를 36일 앞둔 8일 현재 광역단체 17곳 중 절반이 넘는 8곳의 후보 공천을 마무리하지 못했다.
 당의 간판으로 여겨지는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의 ‘조기 등판’을 통해 서울은 물론 전국에 ‘제2의 안풍(安風)’을 일으킨다는 각오였으나, 아직 바람은 잠잠한 상태다.
 오히려 국민의당 출신인 안철수계와 바른정당에 기반을 둔 유승민계의 ‘공천 잡음’이 거셌다.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국회의원 재보선 공천을 둘러싼 갈등이 대표적이다.
 서울 노원병 국회의원 보궐선거 공천을 놓고 안 후보의 측근인 김근식 경남대 교수와 바른정당 출신 이준석 노원병 공동 지역위원장이 갈등을 빚었고, 현재는 서울 송파을에서 ‘집안싸움’이 한창이다.
 당 일각에서는 손학규 공동선대위원장이 송파을 국회의원 재선거에 출마해야 한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6월 선거를 앞두고 바른미래당이 체감하는 위기감을 보여준다.
 의석수 30석인 바른미래당이 국회에서 ‘중재자’ 역할을 톡톡히 할 것이라는 전망도 빗나간 상태다.
 ‘강 대 강 대치’ 정국이 이어지면서 바른미래당은 민주당과 한국당 사이에 낀 ‘넛크래커’ 신세로 전락했다는 말도 나온다.
 나아가 남북정상회담, 드루킹 사건 등 주요 현안에 있어 한국당과 결이 같거나 공조하는 입장을 보임으로써 ‘대안 야당’으로서의 차별화, 선명성을 부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김동철 원내대표는 지난 6일 ‘드루킹 특검’ 압박 차원에서 소속 의원들에게 “침낭과 모포 등을 준비해 달라”며 장외투쟁을 시사했으나, 이미 한국당의 천막농성 및 단식투쟁에 선수를 빼앗긴 뒤였다.
 호남을 기반으로 재기를 노리는 평화당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핵심 지지기반인 호남에서마저 광역단체장 후보 선출에 애를 먹고 있다. 낮은 지지율로 인해 평화당 간판을 걸고 지방선거에 나서려는 인물이 없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평화당은 지난달 중순 원내 정당 가운데 가장 먼저 선대위 체제로 전환했으나, 이달 2일 임정엽 전 완주군수를 전북지사 후보로, 4일 민영삼 최고위원을 전남지사 후보로 각각 내세우는 데 그쳤다.
 원내에서의 존재감 역시 미미하다.
 평화당은 지난달 2일 정의당과 공동교섭단체인 ‘평화와 정의를 위한 의원모임’을 출범했으나, 4·5월 임시국회가 연달아 파행하며 상임위 등에서 제 목소리를 낼 기회를 얻지 못했다.
 평화당 안팎에서는 당의 위상이나 미래에 대해 자조적인 평가가 많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