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유가승상에 4월 수입물가 상승률 7개월만에 최대
상태바
유가승상에 4월 수입물가 상승률 7개월만에 최대
  • 백인숙기자
  • 승인 2018.05.15 15: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입물가지수 85.03…지난달대비 1.2% 상승
국제유가 상승 영향…원화 강세에 일부 상쇄

 지난달 수입물가 상승률이 7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018년 4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수입물가지수는 85.03(2010=100·원화 기준)으로 한 달 전보다 1.2% 상승했다.


 수입물가는 지난 1월부터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지난달 상승률은 지난해 9월(1.8%) 이후 최대였다.
 국제유가가 수입물가를 밀어 올린 주 요인이었다. 월평균 두바이유는 지난 3월 배럴당 62.74달러에서 지난달 68.27달러로 8.8%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원재료 수입물가가 4.1% 올랐다. 그중 원유가 8.4%, 천연가스(LNG)가 3.4% 각각 상승했다.
 중간재도 석탄 및 석유제품 위주로 0.4% 올랐다. 중간재 가운데에는 나프타(원유를 증류할 때 생기는 광물성 휘발유·5.2%), 벙커C유(6.0%) 등의 상승 폭이 컸다.


 한은 관계자는 “국제유가가 올랐지만 원/달러 환율 하락이 영향을 일부 상쇄했다”고 설명했다.
 원/달러 환율이 지난 3월 평균 1071.89원에서 지난달 1067.76원으로 하락하며 수입물가 상승세를 일부 누그러뜨렸다는 것이다.


 수출물가지수는 83.85로 한 달 전 수준과 같았다. 수출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 -0.5%, 2월 1.0%, 3월 -1.4%로 뚜렷한 방향성 없이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농림수산품 수출물가가 0.8% 하락했고 공산품은 0.1% 올랐다.


 구체적으로 보면 TV용 액정표시장치(LCD·-3.5%), 모니터용 LCD(-1.1%) 등 세계적으로 공급 과잉인 LCD 수출물가가 하락세를 보였다. 플래시메모리도 저가 품목이 시장에 나오며 5.3% 하락했다.


 반면 경유(7.2%), 휘발유(5.2%) 등 석탄 및 석유제품 품목은 수출물가가 상승했다.
 환율 영향을 제거한 계약통화(실제 계약할 때 쓰인 통화) 기준 수입물가는 한 달 전보다 1.7%, 수출물가는 0.5% 각각 올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