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폭염에 채솟값 한달새 30%↑
상태바
폭염에 채솟값 한달새 30%↑
  • 백인숙기자
  • 승인 2018.09.04 09: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월 소비자물가 1.4% 상승
시금치 128%·배추 71% 전월대비 폭등
누진구간 조정으로 전기요금 16.8%↓
물가 상승률, 11개월째 1%대

 소비자물가가 11개월 연속으로 1%대 상승률을 유지했다.
 
 '역대급' 폭염 영향으로 채소류를 중심으로 한 농산물 가격이 급등했지만, 누진제 구간 조정으로 전기요금이 내린 여파다. 
 
 통계청이 4일 공개한 8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4% 상승했다.
 
 소비자물가지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작년 9월 2.1%에서 10월 1.8%로 낮아진 이후 11개월째 1%대에 머물고 있다.
 
 직전에 가장 오래 2% 미만에 머문 기록은 4년 2개월이다. 2012년 11월∼2016년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4∼1.7%에서 움직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상품은 1.3% 올라 전체 물가를 0.59%포인트 높였다.
 
 특히 석유류는 1년 전보다 12.0% 뛰며 전체 물가를 0.52%포인트 끌어올렸다. 경유가 13.4%, 휘발유가 11.0% 올랐다.
 
 폭염에 따라 농산물 가격도 1년 전보다 7.0% 올라 전체 물가를 0.33%포인트 올리는 효과를 냈다.
 
 특히 쌀(33.4%), 고춧가루(44.2%), 수박(31.1%), 복숭아(29.0%), 무(24.4%), 시금치(22.0%) 등이 크게 올랐다.
 
 전달(7월)과 비교하면 채소 가격은 무려 30.0%나 올랐다. 이는 2016년 9월 33.2%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전달과 비교하면 시금치(128.0%), 배추(71.0%), 무(57.1%), 파(47.1%), 상추(40.5%), 양배추(85.5%) 등이 크게 올랐다. 
 
 다만 전기·수도·가스는 1년 전보다 8.9% 내렸다.
 
 7∼8월 누진제 구간 조정에 따른 한시적 효과로 전기료가 16.8% 하락한 영향이다. 전기료는 전체 물가를 0.28%포인트 내리는 효과를 냈다.
 
 이번엔 7월 전기요금 조정분이 반영된 것으로, 8월 조정 효과는 9월 소비자물가지수에 나타난다.
 
 정부는 지난달 폭염 대책으로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1·2구간 상한선을 각 100㎾h(킬로와트시)씩 올렸다. 7∼8월 한시 완화 영향으로 정부는 2구간 이상에 속한 1천512만 가구의 전기요금이 평균 1만원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서비스 물가는 1.4% 올라 전체 물가를 0.80%포인트 높였다.
 
 특히 개인 서비스 요금은 2.4% 상승, 전체 물가를 0.77%포인트 올리는 효과를 냈다.
 
 외식은 2.6%, 외식외는 2.2% 각각 올랐다.
 
 가사도우미료가 11.2% 뛰었고, 외식 생선회(4.7%), 구내식당식사비(3.4%)도 1년 전보다 오름폭이 컸다.
 
 자주 사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해 체감 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1.3% 올랐다.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3.2% 뛰었다.
 
 장기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0.9%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물가상승률을 비교할 수 있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0% 올랐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지난달 폭염 영향으로 농산물을 중심으로 물가가 상승했지만 전기료 누진제 구간 조정에 따른 한시 효과로 물가 상승률이 1%대를 유지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