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난해 평균소비성향 13년만에 최저…가계소비 부진 뚜렷
상태바
지난해 평균소비성향 13년만에 최저…가계소비 부진 뚜렷
  • 백인숙기자
  • 승인 2018.09.27 14: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평균소비성향이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내려갔다.
 가계소비 부진이 전체 소비 증가세를 짓누르며 평균소비성향을 끌어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처분가능소득은 1년 전보다 5.0% 증가한 1390조 7998억 원, 최종소비지출은 4.7% 늘어난 1097조 5817억 원이었다.
 국민처분가능소득 대비 최종소비지출 비중을 뜻하는 평균소비성향은 78.9%였다.


 소득보다 소비지출 증가세가 둔화하다 보니 이 비율은 전년(79.1%)보다 0.2%포인트 하락하며 지난 2004년(78.1%)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
 평균소비성향은 1980년대 말 60%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렸다.


 지난 2001년 81.9% 이후 2000년대에는 주로 80% 초반대를 맴돌았다.
 그러나 지난 2012년 81.6%를 끝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지난 2015년 80.0%에서 2016년 79.1%로 떨어지더니 지난해에도 더 내려갔다.
 평균소비성향이 떨어진 데는 정부보다 민간 탓이 큰 것으로 보인다.
 최종소비지출을 민간과 정부로 나눠 보면 민간 소비 증가율은 4.2%로 정부 소비(6.5%)는 물론 국민처분가능소득 증가율(5.0%)보다 낮았다.


 시계열을 확대해 최근 10년간(2008∼2017년)을 보더라도 민간소비 증가율 평균은 4.3%로 정부 소비(6.2%), 국민처분가능소득(5.0%)을 밑돌았다.
 고질적인 민간소비 부진이 평균소비성향을 떨어뜨린 요인으로 볼 수 있는 셈이다.


 민간소비의 90% 이상은 가계소비라는 점을 고려하면 결국 평균소비성향을 끌어내린 ‘진범’은 가계소비 둔화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고령화, 내수·고용 부진 때문에 미래 소득이 불안해지면서 돈을 벌 수 있을 때 쓰지 말고 모아두어야 한다는 가계 심리가 작용한 것이다.


 한국의 평균소비성향은 주요국과 견줘도 낮다.
 OECD 평균(한국 제외·2015년 기준)은 92.5%로 한국보다 13.6%포인트 높다.
 OECD 평균소비성향이 지난 2006∼2015년 2.7%포인트 상승한 것과 달리 한국은 같은 기간 1.4%포인트 뒷걸음질 치며 둔화 속도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소비성향 하락은 내수의 한 축인 소비의 힘을 약하게 한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는다.
 가계가 버는 돈을 소비로 쓰지 않고 모아두면 가계 소득 증가→가계소비 증가→기업 투자·고용 확대→가계 소득 증가라는 선순환도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