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불나면 늦다” 선제적 예방 최우선
상태바
“불나면 늦다” 선제적 예방 최우선
  • 춘천/ 이승희기자
  • 승인 2019.04.14 1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력과 장비 운용·통솔할 산불 지휘 교육과정 더 강화해야
국민의식 개선위한 교육매뉴얼 시급…혼효림 조성도 필요

1757㏊를 잿더미로 만든 이번 강원산불은 비단 올해만의 일이 아니다.


예방 인력과 진화 헬기 부족, 교육매뉴얼 부재 등 천재 뒤에 가려진 인재의 요소들이 여실히 드러난다.


이를 반면교사 삼아 선제적 산불 예방체계를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 산불에 취약한 침엽수림을 새롭게 가꿔 점차 혼효림으로 조성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특히 동해안 산불은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기에 산을 이용하는 국민의 의식 개선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점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정부가 이번 강원산불을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진화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다만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동해안 대형산불을 미리 막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한발 빠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산림청은 지난달 26일 강원도에 내린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주의'에서 '경계'로 한 단계 상향했다.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 중 세 번째인 경계 단계는 위기상황판단 보고서에 따라 산불 발생 위험지수가 높고 일부 지역에서는 야간산불로 이어져 대형산불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다.

산불재난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에 따르면 '경계' 발령 시 각 지자체장은 소속 공무원 또는 직원의 6분의 1 이상을 현장에 배치하거나 대기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번 경우에는 6분의 1의 인력이 산불을 미리 막거나 빠르게 대처하기에 턱없이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화재 전날 바짝 마른 대기에 날씨에 순간 최대 초속 30m 이상의 태풍급 강풍이 예보돼 산불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컸던 까닭이다.


따라서 전국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산불 경보단계와 함께 동해안의 특수성을 고려해 세분된 대응 체계와 이에 맞춰 대폭 증원된 예방 인력 투입이 요구된다. 산불감시원, 산불 전문예방진화대원 등 예방 및 진화 인력 확충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대형산불 진화에 꼭 필요한 헬기 부족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산림청에 따르면 대형산불의 대부분 원인은 사람에게서 나온다. 입산객이나 성묘객, 등산객의 실화가 가장 큰 원인이며 농산폐기물과 쓰레기, 논두렁 소각이 뒤를 잇는다.


이에 산을 이용하는 국민의 의식 개선이 최우선 과제다. 인력과 장비 보강, 대형산불 특별대책 기간 연장 등 산불 감시 체계 강화는 차선책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