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국가 폐암검진 과잉진단 논란
상태바
국가 폐암검진 과잉진단 논란
  • 이신우기자
  • 승인 2019.07.03 16: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잉진단예방연구회 “불필요한 검사 우려…폐암검진 중단해야” 주장
복지부폐암학회 “시범사업서 조기발견 효과 확인…사망률 감소 기대”
<전국매일신문 이신우기자>

국가암검진으로 이달부터 시행되는 폐암검진이 불필요한 검사와 수술을 야기해 오히려 국민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주장이 의료계 일각에서 나왔다.


의사 7명으로 구성된 과잉진단예방연구회는 3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 폐암검진은 의료의 본질을 망각한 위험한 정책으로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이달부터 만 54∼74세 국민 중 30갑년 이상의 흡연력을 가진 폐암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2년마다 폐암검진을 실시한다. 폐암을 조기에 발견해 국민 의료비를 절감하려는 취지다.


연구회는 "미국 폐암검진 임상시험에 의하면 검진 참가자의 약 25%는 가짜 폐암환자로 나타난다"며 "폐암검진이 오히려 가짜 암환자를 양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회는 이날 폐암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시행한 미국 연구에서 폐암 검진을 받은 1000명당 351명은 원래 음성이어야 할 검사결과가 잘못돼 양성으로 나온 위양성 환자로 밝혀졌다는 결과를 공개했다.

또 위양성 환자 351명 가운데 3명은 침습적 검사로 합병증이 발생하고 1명은 사망에 이르는 등 불필요한 검사에 따른 위험성이 확인됐다는 게 연구회의 주장이다.


연구회는 또 "폐암 검진은 특히 위양성(가짜암) 진단율이 높다. 암이 아닌 환자가 추가검사, 조직검사, 수술까지 받아야 하고 이 과정에서 드물지만, 사망도 각오해야 한다"며 "모든 암 검진의 중요한 위험은 검진 자체보다 검진으로 인한 2차 피해인데, 이런 위험성을 도외시하는 것은 의료윤리에 어긋나는 위험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 연구회는 폐암검진으로 인한 사망률 감소 효과도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대한폐암학회와 보건복지부는 국가 폐암검진으로 사망률이 높은 폐암의 조기발견이 가능해져 사망률을 낮추는 등의 효과가 있다는 입장이다.


이신우기자 leesw@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