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공작청지' 공방 서울교육감 선거... 후유증 클듯
상태바
'공작청지' 공방 서울교육감 선거... 후유증 클듯
  •  김윤미기자
  • 승인 2014.06.05 07: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해 7조원의 예산을 주무르는 ‘교육 대통령’ 서울시 교육감 당선자가 결정됐다. 새로운 서울교육감은 지난해 말 서울시의회와의 갈등으로 사상 처음 부동의된 2014년도 예산안을 다시 통과시키는 것부터 혁신학교, 자율형 사립고, 친환경 무상급식 등 이념 갈등이 첨예한 현안을 푸는 것까지 해야 할 일이 산적해 있다. 그러나 선거 과정에서 가족사, 공작정치, 관권선거 논란 등이 불거지면서 후보 간 치열한 네거티브 공방이 오간 탓에 어느 후보가 당선되더라도 후유증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선거는 지난 2010년 6·2 지방선거처럼 진보 단일후보 대 다수의 보수 후보가 맞붙는 구도로 치러졌다. 당시에는 진보 대 보수 경쟁구도가 뚜렷했다면 올해는 보수 후보들끼리도 상대방에게 치명타를 날리는 공세가 오갔다는 게 차이다. 서울시장 등 광역단체장 선거와 함께 치러져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했던 교육감 후보들이 한순간 유권자의 이목을 끈 것은 고승덕 후보의 가족사가 수면 위로 오르면서부터다. 고 후보는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각종 여론조사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지만, 전처와 사는 딸 희경(캔디 고)씨가 “아버지는 교육감 자격이 없다”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리면서 입지가 크게 흔들렸다. 같은 보수성향의 문용린 후보는 고 후보를 무책임한 세월호 선장에 비유하며 공격에 가세했고 희경 씨의 외삼촌이 문 후보에게 전화를 건 사실이 알려지자 이 문제는 두 후보 간 ‘공작정치’ 공방으로 번졌다. 고 후보는 문 후보가 박태준 전 포스코 명예회장 일가와 야합해 이번 일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혹을 제기했고 이에 반발한 문 후보는 지난 3일 고 후보를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문 후보는 유세 과정에서 서울시교육청 공무원과 일선 학교 교장, 교감, 교사들을 동원했다는 관권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고 후보는 지난달 30일 기자간담회에서 “서울교육청이 문 후보의 선거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학교에 장학사를 파견해 표적감사를 하면서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진보 단일후보인 조희연 후보 역시 보수 후보들보다 정도가 덜하기는 하나 아들의 병역과 학교 문제에 대해 공격을 받았다. 자사고 폐지를 주장하는 조 후보가 두 아들은 외고에 보냈고, 장남은 현역병 입영대상이지만 연기해 아직 군대에 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조 후보 측은 “폐지하겠다고 공약한 건 외고가 아니라 자사고이고 장남은 대학원생 신분이라 연말까지 입영을 연기했는데 마치 병역문제가 있는 것처럼 공격하고 있다”고 맞받았다. 이처럼 정책대결을 펼치자는 초반의 다짐이 무색하게 후보들이 네거티브 경쟁에 치중한 탓에 새로운 교육감 당선자는 자신에게 제기된 여러 의혹을 해명하는 데 적잖은 시간을 소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