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공기업 임금피크제 확산 "이달내 142곳 도입계획 수립"
상태바
지방공기업 임금피크제 확산 "이달내 142곳 도입계획 수립"
  •  김윤미기자
  • 승인 2015.09.02 12: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방공기업, 공공기관 등을 중심으로 임금피크제 도입이 늘어나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지방공기업 142곳 중 8곳이 임금피크제를 전면·부분 도입했다고 1일 밝혔다.
 경기도시공사, 광주도시공사, 부산도시공사, 대구도시공사, 부산지방공단스포원은 최상위직급을 중심으로 임금피크제를 일부 도입했다.
 이들 5곳은 전 직급으로 임금피크제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천안시시설관리공단, 청주시시설관리공단, 청송사과유통공사는 행자부 권고안에 따라 전 직급에 임금피크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전국 자치단체의 지방공기업 400곳 가운데 직영기업인 상하수도기업 257곳과, 청산 중인 충청남도농축산물류센터관리공사를 제외한 142곳이 임금피크제 대상이다.
 행자부는 이들 지방공기업 142곳 모두가 이달 중에 도입계획을 확정하도록 할 방침이다.
 또 이행실적을 매주 점검해 결과를 인터넷에 공개하고, 부진한 기관에 컨설팅을 제공하기로 했다.
 행자부는 7일 지방공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을 불러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도록 독려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청 산하 공공기관 8곳이 임금피크제를 도입했거나 올해 안에 도입할 예정이다.
 중기청 산하기관 가운데는 준정부기관인 기술정보진흥원이 7월에 임금피크제를 도입했고 지난달 한국벤처투자와 신용보증재단중앙회도 노사협의를 마쳤다.
 중기청은 기술정보진흥원 등의 사례를 참고해 중소기업진흥공단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창업진흥원, 중소기업유통센터, 중소기업연구원도 올해 안에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면 앞으로 3년간 90개 안팎의 청년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정부는 경제 살리기와 청년 일자리 문제 해소를 위해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도록 하고 공공기관에는 도입 여부 등에 따라 경영평가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