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구 입장.예산 걸림돌... "당장은 아니지만 개선 필요"
상태바
구 입장.예산 걸림돌... "당장은 아니지만 개선 필요"
  •  인천/ 정원근기자
  • 승인 2015.09.04 06: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시는 지난 3월 인천발전연구원에 의뢰한 ‘군·구 명칭에 관한 연구용역’을 이달 중 마무리하고 구 명칭 변경과 관련한 주민 여론을 취합할 계획이다.
 현재 향토사학자나 대학교수 등 전문가 사이에서는 구 이름을 바꾼다면 서구는 연희구·검단구·서곶구, 중구는 제물포구, 동구는 화도진구, 남구는 미추홀구·문학구, 남동구는 구월구·논현구 등으로 바꾸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구 명칭 변경을 바라보는 시선은 지역마다 엇갈린다.
 남구는 원도심 이미지를 벗고 미래지향적인 새 이름을 짓는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반면 서구는 정동진과 대비되는 ‘정서진’의 이미지를 최대한 활용하려 하기 때문에 명칭 변경에 부정적이다.
 구 명칭을 바꾸려면 주민 동의가 무엇보다 선행돼야 한다. 행정자치부 행정구역 실무편람에 따라 해당 지자체 거주 세대의 절반 이상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3분의2가 찬성해야 한다. 이후 지방의회 의견 청취, 법률안 작성, 시장 건의를 거쳐 행자부 승인, 법제처 심사, 국무회의 승인 등 수많은 절차를 거쳐야만 구 이름을 바꿀 수 있다. 이 때문에 전국적으로 구 단위의 기초지자체가 구 이름을 바꾼 전례는 거의 없다. 1995년 인천시 북구가 부평구로 이름을 바꾼 것이 유일한 사례다. 이마저도 주민의 자발적인 뜻으로 이름을 바꾼 것은 아니다. 1994년에 ‘북구청 세무비리 사건’이 터졌고 불명예스러운 이름을 벗어던지고 싶은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구 이름이 변경됐다.
 구 이름 변경에는 비용 문제도 뒤따른다. 공공기관 간판과 행정 서류상 표기를 바꿔야 하기 때문에 구 이름 변경을 위해서는 1곳당 수십억원의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당장 구 이름을 바꾸려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구 이름의 모순과 불합리성을 개선하는 방향을 찾을 필요는 있다고 본다”며 “용역 연구가 최종 마무리되면 주민과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며 구체적인 추진 방향을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