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추운 겨울 어떻게 견디나..." 전국 연탄은행 잔고 '바닥'
상태바
"추운 겨울 어떻게 견디나..." 전국 연탄은행 잔고 '바닥'
  • 김윤미기자
  • 승인 2015.11.05 07: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때이른 가을 추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저소득층에게 온기를 전달하는 연탄은행의 잔고가 바닥을 보이고 있다.
 일부 연탄은행은 후원이 끊겨 외상으로 연탄을 들여오거나 연탄 배달 자원봉사자의 발길마저 뚝 끊겨 애를 먹고 있다.
 대전 연탄은행에는 예년 이맘때면 다음 해 1월까지 연탄 배달 후원과 자원봉사 계획으로 달력이 꽉 찼지만, 올해는 그 절반 수준이다.
 대전 1300여 가구, 세종시 100가구에 연탄 25만장을 전달한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지난 9월 연탄은행이 열리고서 고작 2만장만 전달했을 뿐이다.
 다른 지역의 연탄은행 사정도 마찬가지다.
 전북 연탄은행 연탄 기부량은 지난해의 20% 수준으로, 올 해는 평일엔 연탄 배달 활동을 거의 못하고 있다.
 충북 연탄은행 창고에 남은 연탄은 1200장 뿐이다. 한 가구가 겨울을 나는데 800∼1000장의 연탄이 필요한 것을 고려하면 거의 바닥난 것이나 다름없다.
 서울 연탄은행도 11월 둘째주까지 50만장이 필요하지만, 목표량을 채우기에 후원이 턱없이 부족하다.
 연탄을 기부받지 못하다보니 대부분의 연탄은행이 연탄을 외상으로 구입해 배달하는 것이 예삿일이 됐다.
 후원받은 연탄이 없다보니, 대전 연탄은행은 자원봉사를 하겠다는 중·고등학생들에게까지 기부를 권유하고 있다.
 충북 연탄은행은 자원봉사를 하겠다고 나서는 사람마저 없어 김점용 목사와 황흥용 목사가 트럭을 몰고 주택가를 돌아다니며 연탄을 전달하는 처지다.
 그러다보니 연탄은행의 도움 없이는 겨울을 나기 힘든 이들에게 이번 겨울은 더욱 혹독할 수밖에 없다.
 연탄으로 난방만 하는 것이 아니다. 연탄 온기로 물을 데워 씻기도 하고 밥도 지어 먹기 때문이다.
 특히 자원봉사자들이 아니고서는 연탄을 받을 수도 없는 고지대 주민들은 겨울 추위를 어떻게 견뎌야 할지 막막하다.
 집이 높은 곳에 있을수록 배달비가 더 붙는데, 보통 500∼600원 하는 연탄이 고지대 가구에서 주문을 하면 한 장당 2000원까지 가격이 치솟아 저소득층은 구입할 엄두도 내지 못한다.
 연탄은행 관계자들은 연탄 기부가 줄고 자원봉사 발길이 끊긴데는 경기 침체 원인이 크다고 말한다.
 올해는 기업들이 메르스 여파 등으로 수익을 많이 못 내면서 후원을 늘리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허기복 연탄은행전국협의회 대표는 “경기가 어려울수록 연탄을 필요로 하는 사람은 많아지는데 인심은 더 얼어붙어 기부가 줄고 있다”며 “연말에 반짝 관심이 집중돼 기부가 이어지기도 하지만, 연탄은행은 연중 정기적인 후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그는 연탄은행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적은 11월을 연탄은행의 ‘보릿고개’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이유로 보일러가 보급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연탄이 잊혀졌기 때문이라고 관계자들은 분석했다.
 그러나 연탄은행전국협의회가 파악한 전국의 연탄 수요 가정은 16만7000가구나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