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직업계高 학생비중 2022년까지 대폭 확대
상태바
직업계高 학생비중 2022년까지 대폭 확대
  • 백인숙기자
  • 승인 2016.01.21 07: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등 직업계 고등학교의 학생 비중을 2022년까지 전체 고교생의 30% 수준으로 확대한다.
 대학 정원은 같은 기간내 16만 명 줄이되 공학 등 인력부족 분야 정원은 2만 명 늘리는 등 대학 구조조정에도 지속적으로 나선다.
 또한 임금피크제 중점지원 사업장은 올해 300인 미만 중소기업으로 확대한다.
 교육부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등 4개 부처는 20일 ‘청년 일자리 창출 및 맞춤형 복지’를 주제로 한 이런 내용의 2016년 업무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우선 교육부는 고졸자 취업을 늘리기 위해 전체 고교생 가운데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등 직업계고 학생수 비중을 현재 19%에서 2022년까지 30%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대학 정원을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16만 명 줄인다는 기존 목표는 계속 추진하되 공학 등 인력이 부족한 분야는 4년간 정원을 2만 명 늘리는 등 사회 일자리 수요에 맞춰 대학 체제를 개편하기로 했다.
 그동안 일부 중학교에서 시범으로 했던 자유학기제는 올해 전국 모든 중학교로 확대해 학생들이 조기에 적성을 찾고 다양한 진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고용부는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을 위해 올해 임금피크제 중점지원 사업장을 300인 미만 중소기업으로 확대, 총 1150개 기업을 선정한다는 계획을 보고했다.
 또 상반기까지 ‘비정규직 목표관리 로드맵’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 방안을 마련하고, ‘열정페이’ 근절을 위한 ‘인턴 보호 가이드라인’도 만들기로 했다.
 고용부의 청년 일자리 사업은 실제 취업에 도움이 되도록 ‘사전진단-교육-취업알선’ 3단계로 재편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맞춤형 급여체계로 개편한 기초생활보장제도를 조기에 정착시키고 4대 중증질환 등 의료보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등 맞춤형 복지제도를 내실화할 방침이다.
 전국의 모든 읍면동 주민센터를 복지기능이 강화된 ‘복지허브’로 구축하고 온·오프라인 홍보를 강화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여가부는 근로자·사업주에 모성보호제도를 사전 안내하는 스마트 근로감독제도를 시행하고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활성화해 일·가정 양립 사각지대를 없애기로 했다.
 또 미취학 아동에 대한 아이 돌봄 서비스를 확대하고, 어린이집·아이돌보미 등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예방교육 이수를 의무화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