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이태원 참사] 전국민 'SNS 트라우마' 심각
상태바
[이태원 참사] 전국민 'SNS 트라우마' 심각
  • 이신우기자
  • 승인 2022.11.07 16: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태원 사고영상 메신저 유포
"무심결에 눌렀다가 가슴 철렁"
통제 없는 콘텐츠로 2차 피해
7일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공간인 이태원역 1번 출구에 추모 현수막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7일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공간인 이태원역 1번 출구에 추모 현수막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현장 영상이 유튜브 등 SNS에 잇따라 올라오면서 전 국민의 트라우마를 심화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플랫폼 측의 적극적 필터링은 물론 콘텐츠 생산자·소비자가 스스로 윤리의식을 돌아보는 게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참사를 목격한 이모(27)씨는 쉴새 없이 현장을 촬영하던 시민들 모습이 잊히지 않는다고 했다.

이씨는 "도로 위에 있던 시신과 심폐소생술을 받는 환자들 모습을 한 유튜버가 생중계하는 것을 보고 '이런 건 찍으면 안 되는 것 아니냐'고 따졌더니 '내 핸드폰으로 내가 찍겠다는데 무슨 상관이냐'고 하더라"라며 "셀카봉까지 동원해 영상을 찍으며 해설하는 사람들을 보고 화를 참기 힘들었다"고 말했다.

이같은 영상은 사고 직후 트위터 등 SNS에 적나라하게 올라왔다. 이후 사고 영상을 일부러 피하던 일반 시민에게도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를 타고 퍼져 전 국민의 공포와 우울감을 키우고 있다.

직장인 정모(34)씨는 카카오톡 단체방 영상을 무심결에 눌러본 이후 혼자 있을 때마다 생각나 가슴이 철렁한다고 했다.

그는 "10초짜리 영상을 본 뒤로 이따금 공포감이 드는데 아이들이 이런 영상을 볼까 무섭다"며 "가뜩이나 온 국민이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만큼 관련 영상이 모두 지워졌으면 좋겠다"고 했다.

유튜브 등 플랫폼 측은 가이드라인에 따라 관련 영상을 자체적으로 삭제하는 중이다. 유튜브 관계자는 "이번 사건과 관련된 검색과 추천 결과에 공신력 있는 출처의 뉴스 영상을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있다"며 "정책에 따라 영상을 삭제하거나 연령 제한 조치도 했다"고 밝혔다.

한편 전문가들은 이번 일을 계기로 디지털 윤리의식을 재확립하고 플랫폼의 참사 영상 가이드라인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온라인 콘텐츠는 조회 수와 광고 등 마케팅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윤리적 접근이 배제되고 상업인 목적으로 생산돼 왔다"며 "그러나 이런 콘텐츠 역시 일종의 '보도'인 만큼 통제 없는 방송은 희생자와 유가족 등에게 2차 피해를 유발한다"고 말했다.

이어 "게이트키핑이 중요하다. 플랫폼이 사기업이라고 하더라도 참사 등을 소재로 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정부 등이 나서 원칙과 컨센서스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국매일신문] 이신우기자 
leesw@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