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서울지하철노조 "인력감축안 철회 안하면 30일 총파업"
상태바
서울지하철노조 "인력감축안 철회 안하면 30일 총파업"
  • 박문수 기자
  • 승인 2022.11.07 17: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역무원 안전권·필수인력 보장 요구…16일부터 '준법투쟁'
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교통공사 양 노조 연합교섭단 주최로 파업찬반투표 결과 발표 및 투쟁방침 공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교통공사 양 노조 연합교섭단 주최로 파업찬반투표 결과 발표 및 투쟁방침 공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지하철 1∼8호선이 총파업 위기에 처했다.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사측의 인력 감축 방침에 강력 반발하며 총파업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민주노총 소속 서울교통공사노조와 한국노총 소속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로 구성된 연합교섭단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으로 1∼8호선 265개 지하철역에는 역당 4개 조씩 총 1천60개 조가 근무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2인 근무조가 413개로 전체 39%에 달한다. 한 명이 휴가 등으로 빠지면 '나 홀로 근무'가 되는 구조다.

이에 교섭단은 7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조조정·안전 인력 대책이 없다면 30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공사는 최근 업무 외주화 등으로 2026년까지 1천500여 명을 감축하는 것을 뼈대로 한 경영혁신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김철관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 위원장은 "심야 시간 연장 운행 재개를 위해 장기결원인력을 충원하고 부족한 승무원 인력을 증원하기로 한 올 5월 노사 합의가 채 반년이 안 돼 휴짓조각이 됐다"고 규탄했다.

연합교섭단은 서울시와 공사 측에 역무원의 안전권 및 필수인력 운영 보장, 반복되는 합의 번복에 대한 재발 방지 약속 등을 요구했다.

또 고령자 무임승차, 지하철 요금 동결 등 공공성 강화로 발생한 적자가 노동자의 책임으로 전가됐다며 인력감축 대신 재정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

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교통공사 양 노조 연합교섭단 주최로 파업찬반투표 결과 발표 및 투쟁방침 공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교통공사 양 노조 연합교섭단 주최로 파업찬반투표 결과 발표 및 투쟁방침 공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노조 측은 오는 16일 2인 1조 근무조 규정을 철저하게 지키는 등 '준법투쟁'을 시작하고 이후에도 서울시와 공사 측이 인력 감축 계획을 철회하지 않으면 30일부로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지난 1∼4일 진행된 파업 찬반 투표에선 조합원 70.8%가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파업 시 노선별 운행률은 1호선이 평시 대비 53.5%, 2호선 72.9%, 3호선 57.9%, 4호선 56.4%, 5∼8호선 79.8% 등이다. 주말 운행률은 전 노선에서 평시의 절반(50%) 수준이다.

공사 측은 인력 감축이 비필수 인력 중심으로 이뤄질 예정이며, 노조와 감축 규모 등을 충분히 협의하겠다는 입장이다.

공사 관계자는 "인력감축안은 작년에 나온 혁신안에 기반한 것"이라며 "감축 규모도 노조와 협의를 거쳐 확정되기에 강제 구조조정이라는 표현은 맞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공사 측은 노조가 정한 파업 개시 시점 전까지 최대한 협상을 진행하되 파업이 강행될 시 노사가 체결한 필수유지업무 협정에 따라 최소 50% 이상의 운행률을 유지할 예정이다.

[전국매일신문] 박문수기자
pms5622@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