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내년부터 시각장애인도 웹툰 본다…네이버웹툰, 베타서비스 제공
상태바
내년부터 시각장애인도 웹툰 본다…네이버웹툰, 베타서비스 제공
  • 이일영기자
  • 승인 2022.12.05 13: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웹툰 이미지 속 대사 순서대로 인식해 직접 읽어줘
네이버 웹툰. [네이버웹툰 제공]
네이버 웹툰. [네이버웹툰 제공]

내년 1월부터 시각장애인도 네이버 웹툰을 제대로 즐길 수 있게 됐다.

5일 네이버웹툰에 따르면 이미지로 된 웹툰의 대사를 순서대로 인식해 문자로 바꿔주는 기술이 개발됐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이미지형 콘텐츠인 웹툰은 시각장애인이 이용하기 쉽지 않은 콘텐츠 중 하나로, 이미지에서 문자를 인식하고 이를 음성으로 바꿔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는 기술은 이미 개발돼 있었지만 말풍선 순서와 배경 그림에 적힌 문자 등이 혼동돼 스토리 전달에 방해가 됐었다.

네이버웹툰은 1년여 연구 끝에 AI를 활용해 이미지로 제공되는 웹툰의 대사를 순서대로 문자로 바꿔주는 '웹툰 대체 텍스트' 자동 제공 기술을 개발해 이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배리어프리(Barrier Free) 웹툰'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 기술은 컷과 말풍선의 위치정보를 활용해 웹툰의 대사를 스토리 전달이 가능하도록 순서대로 문자로 인식한다.

시각장애인은 이렇게 인식된 문자를 스마트폰의 '보이스오버'(모바일 앱 화면을 읽어주는 기능)나 토크백(TalkBack.화면 상태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기능) 기능을 이용해 음성으로 들으며 웹툰을 즐길 수 있다.

말풍선과 컷 라인을 인식(왼쪽)한 뒤 순서대로 대사를 배열하는 예시. [네이버웹툰 제공]
말풍선과 컷 라인을 인식(왼쪽)한 뒤 순서대로 대사를 배열하는 예시. [네이버웹툰 제공]

이 기술은 이날 열린 정보 접근성 기술 및 노하우 공유 행사인 '제10회 2022 널리 세미나: 현재를 넘어 새로운 세상으로의 접근' 웨비나에서 공개됐다.

네이버웹툰은 완결되거나 연재 중인 웹툰 회차 약 18만개에 웹툰 대체 텍스트를 적용해 내년 1월 배리어프리(고령자나 장애인들도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물리적·제도적 장벽을 허물자는 운동) 웹툰을 선보일 예정이다.

한국어부터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고 서비스 언어를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네이버웹툰은 장기적으로 대사를 누가 했는지 알 수 있는 화자 추론 기능과 대사가 없는 컷에도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는 기능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네이버웹툰 관계자는 "지금까지 웹툰은 시각장애인이 이용하기 매우 어려운 콘텐츠에 속했지만 의미있는 도전으로 향후 이미지형 콘텐츠 전반의 감상 문턱이 낮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전국매일신문] 이일영기자 
leeiy@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