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산림청 “산불피해지 복원, 과학적 진단・통합적 의사결정으로 회복력 높인다”
상태바
산림청 “산불피해지 복원, 과학적 진단・통합적 의사결정으로 회복력 높인다”
  • 대전/ 정은모기자
  • 승인 2023.05.03 16: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산림과학원, 27년간 수행한 산불피해지의 복원 연구성과 발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대형 산불피해지에 대한 산림복원 정책의 과학적 근거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3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산불피해지 복원의 주요 연구결과와 미래방향을 발표했다. [산림청 제공]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대형 산불피해지에 대한 산림복원 정책의 과학적 근거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3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산불피해지 복원의 주요 연구결과와 미래방향을 발표했다. [산림청 제공]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대형 산불피해지에 대한 산림복원 정책의 과학적 근거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3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산불피해지 복원의 주요 연구결과와 미래방향을 발표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1996년 강원 고성 산불 이후 산불피해지 산림생태계의 회복과정을 밝히고 회복력을 높일 수 있는 복원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1997년에 약 153ha의 장기연구지를 설치하여 연구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또한 2000년 동해안 산불 이후 삼척 지역에 4,000ha를 연구대상지로 추가했다.

첫째는 산불피해지에 조림된 수종들의 초기 생존율 결과로, 생존율은 조림복원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이다. 강릉, 고성, 동해, 삼척 등 산불피해지에 조림된 수종들의 1년 후 생존율은 소나무 평균 89%, 활엽수 평균 53%로 소나무의 조림 복원 효과가 매우 우수했다.

소나무의 높은 생존율은 산불피해지와 같은 척박한 토양에서 소나무가 잘 자란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림소유자는 또한 산불피해지 복원 시 소나무를 심길 원한다. 2000년 동해안 산불피해지 복원 시 산림소유자의 84.6%는 송이 생산 등을 이유로 소나무 조림을 원했다. 최근 산불과 소나무재선충병에 취약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지만, 소나무가 잘 자라고 산주가 원하는 곳에 소나무를 심을 필요가 있다.

다만 산불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민가나 문화재, 발전 시설 등 주요 시설 주변의 소나무림을 불에 잘 견디는 활엽수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둘째로 산불 발생 20년 후의 숲과 토양의 회복력 평가 결과는, 조림복원과 자연복원의 장단점과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강원 고성 산불피해지의 관찰(모니터링) 결과 숲의 회복은 조림복원지가, 토양의 회복은 자연복원지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조림복원지의 소나무는 강원지방 소나무 평균 키의 85~130%였고, 적절한 밀도를 유지했다.

토양의 경우 조림복원지와 자연복원지 모두 산불 발생 후 2~3년이 지나면서 유기물과 양분이 서서히 증가하였다. 토양 유기물과 토양 양분의 회복률은 자연복원지가 조림복원지보다 각각 1.5배, 1.3배 높았다.

이처럼 숲과 토양의 회복은 복원방법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복원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조림복원과 자연복원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입지의 특성에 따라 복원방법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셋째, 산림생물다양성 회복에 관한 결과는 산불 이전의 상태로 회복되기까지 생물분류군에 따라 짧게는 수년에서 수십 년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는 3년, 수서동물 9년, 곤충(개미)은 14년 안에 회복되었지만, 포유류는 20년이 지난 후에도 81~86%(개체수 기준), 조류는 62~72% 수준이었다. 생물다양성은 산림생태계의 건강성을 평가하는 척도이다.

우리나라 산림생태계의 건강성 증진을 위해서는 산림생물의 회복을 촉진하는 서식지 개선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 대형 산불피해지 복원은 과학적인 근거와 이해당사자의 참여를 바탕으로 수립되는 복원계획에 따라 추진된다.

지침에 따라 수립된 2022년 울진 산불피해지의 복원계획은 이해당사자를 대상으로 한 8차례의 보고회와 자문회의를 통해 조림복원 49%, 자연복원 51%의 복원 방법을 포함했다.

최근 4년(2019~2022년)간 산불피해지의 조림수종 선정도 이런 과정을 거쳐 활엽수 51%, 침엽수 49%(소나무 36%)로 결정됐다. 향후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불피해지의 유형에 맞게 복원기준을 탄력성 있게 개선하고 결정 체계를 자동화하여 의사결정이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산불피해지 복원 지침을 개선할 것이다.

 

[전국매일신문] 대전/ 정은모기자 
J-e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