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부산시자치경찰, '시민 체감하는 촘촘한 안전망 구축' 추진
상태바
부산시자치경찰, '시민 체감하는 촘촘한 안전망 구축' 추진
  • 부산/이채열 기자
  • 승인 2024.01.18 11: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피부 와닿는 치안....시민 참여, 안전, 약자 보호 '부산형 자치경찰제' 정착화

부산시자치경찰위원회가 올해 치안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부산시자치경찰위원회는 2024년을 '더 안전한 부산 만들기 실현'의 해로 정하고, 더욱 피부에 와닿는 치안 정책을 추진해 시민의 평온한 일상을 지키는 부산형 자치경찰제를 정착시키겠다고 18일 밝혔다.

위원회는 지난해 기존 추진 정책의 효과 점검과 다양한 치안 활동을 통해 실질적인 자치경찰제의 토대를 마련했다. 치안 사업 예산을 확충하고 부산시·부산경찰청·부산교육청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업해 더욱 두터운 치안 안전망을 조성했다. 

또한 전국 최초 주취자 공공구호시설인 ‘부산광역시 주취해소센터’를 개소하고 ‘정신응급 합동대응센터’를 운영해 주취자와 정신질환자에 대한 보호조치 체계를 고도화했다. 그리고 16개 구·군이 ‘자치경찰사무 지원 조례’를 제정할 수 있도록 해 광역단위 자치경찰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치행정과 치안행정 간 융합을 강화했다.

위원회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시민과 함께하는 자치경찰, 더 안전하고 행복한 부산'을 비전으로 삼고, 시민참여와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해 나갈 계획으로 중점 목표와 추진과제를 밝혔다.

우선 자치경찰제를 '시민참여'를 바탕으로 정착해 나갈 방침이다. 치안리빙랩, 실무협의회, 전문가 자문단, 자치경찰소통단을 통해 시민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실질적인 치안 정책을 마련한다.
 
두 번째로, 시민들이 마음 놓고 일상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대응해 나간다. 범죄 발생을 억제하는 예방적 치안 활동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범죄 예방강화 구역(73곳)·여성안심 귀갓길(151곳) 범죄예방 환경개선, 치안데이터 기반 방범용 씨씨티비(CCTV) 설치 확대, 주취해소센터·정신응급합동대응센터의 보호조치 지속 운영, 자율방범대·반려견순찰대와 함께하는 민·관 합동 순찰 및 다중운집행사·특별방범활동 강화 등을 추진한다.
 
세 번째로, 사회적 약자를 범죄로부터 더욱 보호하고 지원에 나선다.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관계성 범죄에 대해 엄정하게 대응하는 한편, 피해자를 보호·지원하고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찾는 데 집중해 가정폭력 재발방지 ‘행복한가(家) 희망드림 프로젝트’를 확대 운영하고 스토킹 등 고위험 범죄피해 민간경호지원 서비스 사업을 추진한다.

부산시자치경찰위는 올해 교통약자 보호를 위해 보행신호 측면등, 우회전 신호등, 잔여시간 표시 횡단보도 등 시인성 높은 교통시설물을 설치하기로 했다.[부산시 제공]
부산시자치경찰위는 올해 교통약자 보호를 위해 보행신호 측면등, 우회전 신호등, 잔여시간 표시 횡단보도 등 시인성 높은 교통시설물을 설치하기로 했다.[부산시 제공]

 
네 번째로, 교통약자 보호가 중심이 되는 교통문화를 정착시킨다. 보행신호 측면등, 우회전 신호등, 잔여시간 표시 횡단보도 등 시인성 높은 교통시설물을 설치하고 이륜차 후면번호판 단속장비 설치 등 무인단속 장비를 확대한다.
 
또 고령자 면허증 반납 활성화, 규격화된 초보운전스티커 배부 등 선진 교통문화 확산을 위한 전방위적 노력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정용환 부산시자치경찰위원장은 “올해 더욱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해 시민의 생활 속에서 민생현안까지 속속들이 챙기는 부산자치경찰이 되겠다”라며, “우리 위원회는 생활안전·사회적약자 안전·교통안전 체감도를 높여 자치경찰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의지를 전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