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I 바우처 지원사업’ 수행
상태바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I 바우처 지원사업’ 수행
  • 부천/ 오세광 기자
  • 승인 2024.06.05 09: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AI 바우처 지원사업’ 수행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주관... 사업총괄 핵의학과 박정미 교수가 맡아
순천향대 핵의학과 박정미 교수.[순천향대 부천병원 제공]
순천향대 핵의학과 박정미 교수.[순천향대 부천병원 제공]

순천향대 부천병원 등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이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가 주관하는 ‘2024년 AI 바우처 지원사업(과제명: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의 스마트 진단: 뇌 아밀로이드 PET의 정량분석 AI솔루션 적용 효과 검증)’에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AI 바우처 지원사업’은 AI 솔루션 적용이 필요한 기업에 바우처를 지급해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 수요기업으로 순천향대 부천병원이, 공급기업으로 브라이토닉스이미징이 참여하게 됐다.

사업 총괄 책임은 순천향대 부천병원 핵의학과 박정미 교수가 맡았으며, 신경과 박정호‧이익성 교수와 핵의학과 최준호 교수, 박승현 방사선사가 공동연구자로 참여한다.

연구팀은 올해 11월까지 최대 3억 원을 투입, ▲AI솔루션을 이용한 정량 분석 성능 평가 ▲정량분석기반 최적 절단값 도출과 임상 활용 평가 ▲만족도 조사와 AI솔루션 지속 활용을 위한 후속 지원 계획 수립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아밀로이드 PET 검사’는 증상발현 5년 전에 조기진단이 가능한 첨단 분자 영상 검사이나, 기존 판독 소프트웨어는 뇌의 모양을 평면으로만 분석할 수 있어 정확도가 떨어진다. 이에 연구팀은 판독 소프트웨어를 최근 개발된 국산 PET 정량분석용 AI 솔루션 ‘BTX Brain’과 접목해, 뇌를 3D 표준 맵으로 일치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거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정량분석을 시행할 예정이다.

박정미 교수는 “사람의 얼굴이 모두 다르듯이, 뇌의 모양도 모두 다르다. 아직 임상에서는 ‘뇌 아밀로이드 PET 진단’이 육안 판독으로만 진행되고 있는데, 정량분석 AI 솔루션을 도입함으로써 기존 한계를 극복하고 더 신속하게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알츠하이머 치매는 초기에 적절한 약물 치료를 시행하면 진행을 예방할 수 있다. 이번 사업으로 초기 치매의 진단 정확도와 신뢰도 향상을 이끌어, 환자 삶의 질 개선과 의료비용 절감, 나아가 사회적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부천/ 오세광기자 
osk@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