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의협, 20일 집단휴진 디데이 가능성…"전국의사 함께행동" 강조
상태바
의협, 20일 집단휴진 디데이 가능성…"전국의사 함께행동" 강조
  • 박문수기자
  • 승인 2024.06.08 17: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날 마감 투표에 회원 55% 참여…내일 전국의사대표자회의서 공식 발표
의대 교수들 "집단행동 따를 것"…넉달째 이어지는 의료혼란 더 악화 우려
대한의사협회(의협),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 등 의사단체들이 총파업 투표를 진행하며 의정갈등이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관계자, 환자 등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의협),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 등 의사단체들이 총파업 투표를 진행하며 의정갈등이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관계자, 환자 등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오는 20일을 집단휴진 디(D)-데이로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협은 휴업 찬반을 묻는 투표 결과를 오는 9일 발표할 예정인데, 가결을 발표하기 전부터 강경 투쟁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8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의협은 오는 20일을 집단휴진 시작일로 염두에 둔 것으로 알려졌다.

목요일인 20일은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서울의대 비대위)가 집단휴진일로 잡은 17일(월)과 같은 주다.

의협은 전날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의대비대위의 집단 휴진 결의를 환영하면서 "이에 맞춰 전국 의사들이 함께 행동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었다.

지난 4일 오후 5시 시작해 전날 자정 마감한 의협의 휴진 찬반 투표에서는 투표 인원 12만9천200명 중 7만800명이 참여해 54.8%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의협은 2014년과 2020년 집단행동에 대한 투표보다 투표율이 높다면서 "의료농단 저지에 대한 강한 의지"라고 강조하고 있다.

의협은 9일 의협회관에서 의대교수, 봉직의, 개원의 등이 참여하는 가운데 열리는 전국의사대표자대회 전까지는 투표 결과를 공표하지 않을 계획이지만, 일찌감치 집단행동 개시를 시사하는 발언을 하고 있어 가결됐을 가능성이 크다.

의협은 전날 보도자료에서 "대표자대회는 의료계 투쟁역사에서 교수, 봉직의, 개원의 등 모든 직역이 한뜻으로 행동하기로 결정하고 결행하는 최대 규모의 단체행동이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서울의대 교수들에 이어 의협의 파업 돌입이 가시화하면서 전공의 이탈 이후 넉달째 이어지고 있는 의료 현장의 혼란도 심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의협이 개원의 중심 단체이긴 하지만, 이번 집단행동에는 의대 교수 단체도 참여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국 20개 의대 소속 교수들이 모인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전날 의협의 투표 결과에 따르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다만 의대교수와 개원의 등이 집단행동에 얼마만큼 참여할지는 미지수다.

의대교수들은 이번 의료공백 사태 동안 집단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했지만 실제로 병원과 대학을 떠난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미 여러차례 휴진 계획을 밝혔지만 환자 곁을 지킨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서울의대 비대위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외래 진료실을 닫고 정규수술 일정을 조절할 것"이라며 "경증 환자여서 안오셔도 되는 환자는 다른 데로 가시는 것이고, 응급환자 등은 다 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협이 휴진에 돌입한다고 해도 동네 병원이 문을 닫는 일은 적을 수 있다는 전망도 많다. 지난 2020년 집단행동 당시 개원의들의 참여율은 한 자릿수에 그쳤었다.

의대증원이 이미 확정된 데다, 정부가 최근 복귀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을 중단하고 수련병원이 전공의들의 사직서를 수리하도록 한 유화책을 상황에서 여론이 우호적이지 않다는 것도 부담이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지난달 28~29일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85.6%가 "의대 증원에 반대해 진료 거부, 집단 사직, 휴진 등 집단행동을 하는 전공의와 의대 교수들이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환자 곁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했고, "의사들의 집단행동을 존중하고 지지한다"는 대답은 12.0%뿐이었다.

[전국매일신문] 박문수기자
pms5622@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