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경제 활성·청년실업·대중교통 등
4인4색 해법 제시 서민 표심 공략
상태바
경제 활성·청년실업·대중교통 등
4인4색 해법 제시 서민 표심 공략
  • <6·13지방선거 특별취재반>
  • 승인 2018.06.04 1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태정 민주당 후보                 박성효 한국당 후보               남충희 바른미래당 후보             김윤기 정의당 후보


 대전시장 선거에 나선 후보들이 가장 역점을 둔 공약은 청년 일자리 창출과 기업 유치 등 지역경제 활성화다.
 더불어민주당 허태정, 자유한국당 박성효, 바른미래당 남충희, 정의당 김윤기 후보는 선거 '단골 메뉴'인 서민경제 활성화에 방점을 찍으며 일자리 창출과 청년창업 지원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다.


 또 미세먼지 해결 등 환경정책과 대중교통 활성화 등에 대해서도 자신만의 해법을 제시하며 표심을 공략했다.
 허태정 후보는 ‘미래 전략산업 육성·기술창업 강국 실현을 위한 2천 개 스타트업 육성’을 1호 공약으로 제시했다.
 2022년까지 국비와 시비 2천100억원을 투입해 혁신창업 생태계 구축으로 대한민국 최고 스타트업 도시를조성하고, 기업가치 1조원 이상 유니콘 기업을 육성하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원도심 등에 권역별로 특성화한 스타트업 타운을 조성하고, 스타트업 입주 공간 2천 실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또 국내외 유수 투자기관(기업)을 유치하고, 민간 주도로 혁신 생태계도 구축하겠다고 약속했다.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희망주택 3천 가구 공급도 허 후보 핵심 공약이다.
 청년층 주거 불안을 해소해 보편적 주거 복지를 실현하는 한편 인구이동 방지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밖에 국가 도시정원 둔산 센트럴파크 조성, 시민참여 예산 200억원으로 확대, 미세먼지 저감 프로젝트 가동 등도 공약으로 제시했다.


 박성효 후보 1호 공약은 ‘도시철도 2호선 DTX(저심도 지하철) 즉시 착공’이다.
 도시철도 2호선에 대한 대전시민의 높은 기대감을 반영해 지하철 방식으로 건설하면서 임기 시작과 함께 즉시 착공하겠다는 게 박 후보 공약이다.


 지하와 고가를 혼용한 저심도 지하철은 트램의 단점인 느린 속도와 정시성 문제는 물론 자기부상열차 단점인 도시미관 저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식이라는 게 박 후보 설명이다.
 둔산 르네상스와 유성 뉴딜프로젝트는 박 후보 경제정책의 핵심이다.


 둔산지역에 대해서는 용적률 상향 조정과 최고층수 규제 해소 등 규제 개혁과 도시개발을 동시에 추진하고, 유성지역에 대해서는 온천 테마파크 조성과 스타트업 공간 확충 등을 통해 경제 활성화를 꾀하겠다는 계획이다.
 청년미래재단 설립, 대학생 창업복합타운 조성, 대전공공혁신펀드 조성, 대학-출연연 협업사업 확대 등을 기반으로 한 청년 일자리 경제특별시 구현도 주요 공약이다.


 남충희 후보는 ‘새로운 좋은 일자리 10만 개 창출’을 대표 공약으로 내세웠다.
 기술창업 촉진으로 1만2천 개, 중소·벤처기업을 중견·강소기업으로 육성해 1만5천 개, 생활밀착형 소상공인 지원으로 3만 개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원도심 중심 전시컨벤션 산업 활성화를 통해 사람이 모이게 하고 국내외 대기업 투자유치를 끌어내는 등 경제정책을 핵심 공약으로 제시했다.


 김윤기 후보는 진보정당 후보답게 개발보다는 대중교통 활성화, 녹색도시 구현, 아동수당 확대 등에 방점을 뒀다.
 김 후보는 특히 버스, 마을버스, 지하철, 타슈(공공자전거)를 월 1만원에 이용할 수 있는 통합정기권 발행으로 대중교통 중심도시를 조성하겠다는 약속을 1호 공약으로 제시했다.
 대전교통공사 설립과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및 승강장 개선으로 버스 정시성과 안전성을 높이겠다고 약속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