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대전대둔산한방병원 김영일 연구팀, 국제학술지 논문게재
상태바
대전대둔산한방병원 김영일 연구팀, 국제학술지 논문게재
  • 대전/ 정은모기자
  • 승인 2018.11.19 13: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대둔산한방병원 김영일 연구팀이 한국한의학연구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도침치료가 기존 침치료에 비교하였을 때, 더 우월한 효과를 지닌다는 연구 결과에 대한 논문을 SCI(E)급 저널인 국제학술지 eCAM에 게재했다고 17일 밝혔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일명 허리디스크)은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추간판을 감싸고 있는 섬유륜이 파열되어 발생한다. 허리의 신경근이나 척수의 경막이 탈출된 수핵에 의해 물리적 압박을 받거나 수핵 주변에 일어나는 염증반응에 의해 자극을 받아 다리의 통증, 저림, 근력저하, 감각이상 등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도침은 침끝이 납작한 칼날과 같이 가공된 특수침으로 척추, 후관절 및 신경근 주변의 섬유화 되거나 굳게 뭉친 조직을 자극하는 치료법이다. 기존 연구에서 이미 허리디스크에 침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지만, 국내에서 허리디스크에 대한 도침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는 무작위배정 임상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연구팀은 진행한 예비임상연구 결과에 따르면, 2주 동안 총 4회 도침치료를 받은 대상자들이 같은 기간 동안 총 6회 일반침 치료를 받은 대상자에 비해 허리디스크로 인한 통증 정도와 기능장애가 유의하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호전 정도는 도침치료가 반복됨에 따라 증가, 도침치료 종료 후 2주차까지도 지속적으로 호전 정도가 증가했다.

이는 도침이 허리디스크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고 기능장애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일정기간 지속되는 것임을 시사한다.

반면 도침에 의한 중대한 이상반응은 없었으며 치료 후 불편감도 매우 일시적인 것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eCAM의 10월 특별호에 전통의학의 현대적 치료도구 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