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서울시의회 신언근 의원, “법과 조례를 무시하는 서울시 저상버스 정책”
상태바
서울시의회 신언근 의원, “법과 조례를 무시하는 서울시 저상버스 정책”
  • .
  • 승인 2015.07.14 08: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올 연말까지 저상버스 3,618대 필요, 2014년 말 현재 목표 대비 34.5% 수준에 불과- 저상버스 1,122대 정상도입을 위한 서울시의 의지와 예산 대책 필요<전국매일/서울> 서정익 기자 = 서울시의회 신언근 의원(새정치연합·관악4)은 서울시가 2015년까지 운행 중인 시내버스의 50%를 저상버스로 도입해야 함에도 예산 부족을 핑계로 저상버스를 도입하고 있지 않는 것은 직무유기라며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복지증진 차원에서라도 장애인을 비롯한 교통약자가 대중교통을 자유롭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저상버스 도입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신 의원에 따르면 2014년 말 기준 서울시에 운행 중인 시내버스 7,485대 중 저상버스는 2,496대이고, 서울시가 운행해야 하는 저상버스의 법정 대수는 광역버스 250대를 제외한 시내버스 7,235대의 50%인 3,618대다. 따라서 2015년에 서울시가 최종 도입해야 하는 저상버스는 1,122대다.신 의원은 “서울시는 2006년‘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과 2007년‘서울특별시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에 관한 조례’시행에 따라 2013년까지 시내버스의 50%를 저상버스로 도입했어야 했음에도 도입이 지지부진하자 2012년 말 부랴부랴 조례를 변경, 저상버스 50% 도입을 2013년에서 2015년으로 2년을 미룬 바 있다”고 지적했다.그는 이어 “특히 2015년 예산편성 국비 가내시액이 515대인 반면 서울시 예산편성은 국비 가내시액에 많이 부족한 217대에 불과한 것을 볼 때 과연 서울시가 장애인을 비롯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해 저상버스를 도입할 의지가 있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신 의원은 “지난 2014년 국토교통부로부터 저상버스 추가도입을 추진하는 지자체에 국비를 추가로 지원할 계획이라는 공문을 받았음에도 추경예산안을 편성도 하지 않고, 2015년도 예산편성에는 당초 목표대수의 5분의 1에 불과한 예산을 편성하는 것을 볼 때, 서울시가 장애인을 비롯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에 대한 인식과 추진의지가 심각하게 부족하다고 밖에 여길 수 없다”고 강조했다.신 의원 이어 “서울시는 재정여건 타령만 할 것이 아니라 목표대수에 어느 정도 부합할 수 있을 만큼의 예산책정이 될 수 있도록 대책마련을 강구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개선대책 마련과 예산확보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