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신축 대형건축물 계획단계에 공익기능 대폭 강화
상태바
신축 대형건축물 계획단계에 공익기능 대폭 강화
  • 한영민기자
  • 승인 2019.12.23 17: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건축허가 사전 승인 시 ‘도 역점사업 반영’ 권고

경기도는 내년부터 이재명 도지사의 방침에 따라 ‘건축허가 사전승인’을 받는 신축 건축물에 도 역점사항을 반영토록 권고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도의 역점 사항은 대형건축물의 공익기능 강화와 사회 환원 차원에서 진행하는 것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건축법’ 제43조, 시행령 제27조의2에 의거 공개공지 내 소규모 휴게시설 설치·확대에 따른 도민 모두의 쉼 공간 조성 ▲스마트 모빌리티(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전동휠 등) 보급이 늘어남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용주차 공간 확보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11조에 의해 주차장 높이는 2.3m 이상 확보해야 하나, 화물의 하역, 택배 차량 등의 접근이 가능토록 ‘지하주차장 1층 경사로 및 높이를 2.7m이상 확보’ 하도록 개선하는 사항 등이다.

또 지난 4월부터 시행중인 ▲지상층에 최소 6㎡이상(1인당 1㎡이상)의 청소원 등의 휴게시설 확보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 의무 대수 200면당 1개소 이상 확보하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개발이익이 수반되는 대형건축물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고려해 공익 기능 강화 차원에서 ‘건축허가 사전승인’ 시 건축위원회 심의를 통해 도 역점 정책에 대해 반영토록 권고하고, 도민이 원하는 새로운 도 조성을 위해 자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역점 정책 추진을 민간의 영역까지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대형건축물에 ‘휴식과 힐링’에 대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쉼’ 공간 조성과 전기차·전동킥보드 등 친환경 첨단기술이 반영된 ‘이동수단의 변화’, 생활 속 이용편의를 위한 ‘택배 등 수송차량의 접근성 개선’ 등을 하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건축허가 사전승인’ 비대상 건축물에 대해서도 시·군 건축허가 시 현장여건을 고려해, 건축주에게 무리한 부담이 없는 수준에서 반영 권고토록 시·군과 긴밀히 협조해 도의 역점 정책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김준태 도시주택실장은 “도민을 위한 새로운 경기도 조성을 위한 정책이 공공에 국한되어 도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며 “이번 조치로 대규모 개발사업의 개발이익을 고려한 공익기능 강화를 통한 쉼 공간 확대와 반영구 구조물인 대형건축물이 장래 스마트모빌리티 확산에 선제적 대응이 가능해 짐에 따라 궁극적으로 도민의 삶의 여유와 생활이용 편의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한영민기자
han_Y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