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기획특집] "학생·학부모·교직원 모두 행복한 '명품교육' 완성"
상태바
[기획특집] "학생·학부모·교직원 모두 행복한 '명품교육' 완성"
  • 경북/신용대·신미정기자
  • 승인 2014.08.10 11: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선2기 취임 후 4년간 성과 

주요 성과는 인성교육, 학력향상, 사교육비 부담 경감, 교육복지 실현 분야로 나눠 살펴볼 수 있는데, 우선 올바른 인성교육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6학급 이하 초등학교에 도시 및 선비문화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마을 돌봄이 청소년 봉사단을 120개 운영하고 있으며 학생해양수련원을 2012년 10월에 건립했고 청도·안동학생야영장을 현대화했으며 내년 4월에 상주학생야영장이 개원할 예정이다. 

학력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2013년 국가수준성취도 평가 결과 기초학력미달 최저 비율(중·고)이 전국 3위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학력 우수학교 및 학력향상 학교를 집중 지원해 전국 17개 중·고등학교 중 경북에 6개교가 선정됐다. 또한 영어 교육의 질 제고를 통한 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해 올해까지 원어민 보조교사 배치율 81%, 초등 영어회화전문강사 배치율 70%, 영어체험 전용 교실 배치율 89%를 확보했다. 

사교육비 부담 경감을 위해 사이버 가정 학습 전 학생 무료 수강 지원, 방과후학교 우수 강사 확보를 위한 강사 채용 박람회를 실시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의 돌봄학교를 2014년 현재 656실로 확대 운영하고 있다. 안전한 학교 조성을 위하여 전체 학교에 안심알리미 서비스를 운영하고, 배움터 지킴이 배치 및 CCTV를 100% 설치 완료했다. 

최상의 교육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경산 자인학교를 올해 개교했으며 장애학생 인권 보호를 위한 상설모니터단 운영, 특수교육대상 학생 보호자 통학지원비 현실화 등 특수교육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유아·다문화가정 및 저소득층 자녀 교육비에 1559억 원을 지원했으며 농산어촌의 소규모 학교에 221억 6400만 원을 지원했다. 

주요수상 실적으로는 2010~2013 시도교육청 평가 우수교육청 선정, 2010~2012 영어수업개선 실천사례 연구발표대회 우수상, 2010~2013 전국인성교육실천사례 연구대회 최우수기관, 2010~2013 전국 교실수업개선 연구대회 최우수기관, 2011~2012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 우수교육청, 2011~2012 부패방지 시책평가 최우수상, 2013 한국학생과학탐구올림픽 과학실험대회 초·중등부 최우수상, 2012~2013 학교급식 만족도 평가 1위, 2012 대한민국발명교육 대상, 2013 안전행정부 주관 정보지식인대회 기관평가 대통령상, 2013~2014 전국소년체육대회 종합 3위, 2013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종합 1위, 2013 교육정보화연구대회 7년 연속 1위, 2013 전국교육연수원 평가 경상북도교육연수원 최우수 기관 선정 등이다.

●향후 경북교육의 방향

▲감성과 인성이 조화로운 인재 육성 

자라나는 학생들의 올바른 인격형성을 위해서는 감성과 인성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학생들에게 경로 효친 교육을 강화하고 경북 정체성 교육을 통해 경북인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며, 1학생 1악기 연주, 1학생 1운동의 생활화, 전 학년을 대상으로 감성 코칭과 행복 힐링의 기회를 제공해 3성(인성·지성·감성)이 조화로운 인재를 육성하는데 교육의 중점을 두고자 한다. 

▲안전하고 행복한 학교 만들기 

교육활동 시에는 무엇보다도 학생의 안전이 최우선시 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교육안전 전담 부서를 신설하고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고화질 CCTV 설치, 지자체 CCTV 통합관제센터와 연계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실시, 수학여행 및 현장체험학습 매뉴얼 재정비, 교직원 연수 강화 및 안전교육 콘텐츠 제작 활용 등 이론 위주의 교육방법을 탈피해 체험위주의 안전교육을 강화해 나가겠다. 또한 시설물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재난위험시설(D급) 조기 해소를 추진하고 학교 석면 시설 교체를 통해 안전한 교육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 

▲학력향상에 중점을 둔 맞춤형 학력지도 

현재의 교육방식은 교사중심의 강의식 교육에서 학생중심, 토론식 교육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따라서 사고, 토론, 독서 등 학생중심 수업 문화를 정착시키고, 기초·기본 학력 정착 책임제 시행, 전 학교 스마트 교육환경 조성, 글로벌 현장학습 파견 확대, 농수산계고 청년리더 1만 명 양성 프로젝트를 통해 수요자가 만족하는 맞춤형 학력지도를 해 나가겠다. 

▲공교육 내실화로 학부모

사교육비 절감 학부모에게 만족을 주는 교육을 위해서는 공교육의 내실화로 사교육비 부담을 경감하는데 주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소규모학교 중심의 자율재능학교를 지정 운영하고 맞벌이 부모 및 농산어촌 온종일 돌봄학교 운영 확대, 경북사이버학습 및 원격화상 강좌 확대, 학업중단 위기학생 One-Stop 맞춤식 체험활동 지원, 지역 거점형 영어교육지원센터 운영, 농산어촌 명품고 및 지역 명문고(1군 1우수 고등학교) 육성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교직원의 행복지수 높이기 

교직원에게 보람을 주는 교육행정을 실현하기 위해 교원 전문성 함양 및 심리치유 주말 힐링 캠프 등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인 인사를 위한 교원인사시스템 개선, 교육시책 및 행사 중 불필요한 사업은 통·폐합시키고 경북전산정보센터를 설립하여 교원업무경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교직원의 고충 및 교권침해 해결을 위해 상담실을 운영하는 등 교직원 행복지수 높이기에 최선을 다하겠다. 이와 함께 교육안전시스템 혁신, 교실수업문화 혁신, 교직원인사시스템 혁신, 교육환경 및 자료 혁신, 교육정책 및 교육행정 혁신의 ‘5대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해 ‘명품! 경북 교육’을 완성하겠다. 

 

[전국매일신문] 경북/ 신용대·신미정기자
shinyd@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