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수출 부진 속 뷰티.푸드.전자 '선전'
상태바
  수출 부진 속 뷰티.푸드.전자 '선전'
  • 김윤미기자
  • 승인 2015.11.17 08: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반적인 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뷰티와 푸드, 전자제품군에 속한 품목들이 두 자릿수 수출 증가율을 이어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수출호조 업종의 특징과 시사점 연구’ 보고서에서 1000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730개의 지난 1∼9월 수출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175개 품목이 5% 이상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보고서는 이같은 ‘역주행’ 품목을 유형별로 묶어보니 K-뷰티, K-푸드, K-전자 등 3가지로 요약된다고 설명했다.
 K-뷰티제품군은 눈화장품(36.9%), 립스틱(30.9%), 비누(61.2%), 샴푸(74.1%), 언더셔츠(7.2%), 스웨터(6.5%) 등으로 평균 53% 증가했다.
 K-푸드제품군은 평균 24.2% 늘어났는데 우유(13.3%), 분유(38.0%), 맥주(14.9%), 쇠고기(36.4%), 김(15.7%), 빙과류(8.2%), 담배(35.2%) 등이 대표적이다.
 무선통신기기부품(28.8%), 반도체장비(17.5%), 소프트웨어(10.5%), TV카메라(64.5%), 전기밥솥(9.7%) 등 K-전자군은 평균 24.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3가지 제품군은 산업특성에 맞는 독특한 방식으로 세계인의 취향을 저격한 제품들”이라며 “교역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전체 교역량이 줄어들고 있는 지금 그들의 성공비결을 눈여겨봐야 할 때”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K-뷰티의 성공비결은 ‘창조적 차별화’”라며 “쿠션, BB크림, 마스크팩, 한방샴푸 등 다양한 제품들을 창조적으로 만들어내 세계인의 취향을 저격했다”고 설명했다.
 K-푸드의 경우 ‘철저한 현지화를 통한 신뢰구축’ 전략으로 수출시장을 공략했다.
 국내산 우유와 분유가 대표적 사례로 지난 2008년 중국의 멜라닌 분유 파동 후 현지에서 신뢰도 높은 유제품으로 자리잡았다.
 K-전자는 ‘다각화보다는 전문화’를 통해 무선통신기기부품, 반도체장비, 전기밥솥 등이 높은 수출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